고창농악 판굿(2019청소년,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6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전라북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강호항공고등학교
수상(단체상) 동상 (국립국악원장상)

종목소개

고창농악은 호남우도농악에 속하며, 영광, 무장, 장성 농악의 계보를 잇고 있다. ‘고창농악 판굿’은 당산굿이나 샘굿, 매굿, 풍장굿, 문굿 등이 끝난 후 판을 벌여놓고 치는 굿을 말하며, 치배와 잡색의 기량을 집약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굿이다.

가락 흐름에 따라 독자적인 구성을 갖춘 판굿은 굿패의 기량을 보여주는 연희적 목적은 물론, 판굿 전에 치러지던 일련의 의식에서 시작된 사람들의 풀이에 대한 염원을 공동체적 신명으로 끌어내는 장이 되었다.

고창에서는 농악을 정월 당산제 기간과 여름 농사철에 집중적으로 행했다. 정월 당산제 기간에는 문굿, 당산굿, 샘굿, 줄굿과 줄다리기, 매굿, 판굿 등이 하나로 결합한 형태로 연행되는데, 이를 ‘보름굿’이라 부른다. 여름 농사철에는 대부분 마을에서 논매기를 마치고 풍장굿을 친다. 주로 정월과 여름철에 농악 연행이 집중되어 있지만, 유두나 칠석, 백중, 추석 등의 세시 절기에도 농악을 치며 놀았다. 또한 주술적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주장매기 등도 연행되었다.

농악의 연행과 전승은 일반적으로 마을 공동체에 기반하지만, 고창 지역의 경우에는 과거 세습무계 집단의 전문굿패 활동이 왕성했다. 이들의 활동이 마을 농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농악 연행이 전문 예능으로 발달했다. 그래서 마을 농악의 틀을 유지하면서 세습무계 집단의 예능이 결합된 형태의 농악이 전승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 문굿 걸궁패가 마을로 들어갈 때 마을 입구에 영기로 문을 세워 놓고 걸궁패의 기량을 시험하는 농악이다. 보통 걸궁을 하기 전에 걸궁패와 마을 사람들이 교섭을 하지만, 이를 행하지 않고 걸궁을 나가기도 한다. 문굿 전체 과정은 복잡하게 진행되지만, 걸궁패와 마을 간의 의사교환 과정을 중심으로 파악하면 문세우기, 의사 타진, 기량 선보이기, 문열기 순으로 과정이 집약된다.

  2. 당산굿 고창 지역의 동제는 ‘당산제’라로 불린다. 당산제는 유교식 제사와 풍물굿이 결합해 있기도 하고, 풍물굿으로만 진행되기도 한다. 이때 당산 앞에서 치는 굿을 당산굿이라고 한다. 주로 정월에 마을굿으로 연행하고, 여름철에 풍장굿을 할 때도 당산굿을 친다. 당산굿은 크게 들당산, 당산놀리기, 날당산 순으로 진행한다. ‘들당산’은 굿패가 당산에 들어갈 때 치는 것이고, ‘당산놀리기’는 당산을 즐겁게 하기 위해 각 치배가 나와 개인놀이를 하는 것이다.

  3. 줄굿과 줄다리기 고창을 비롯한 호남 서부 지역에는 줄다리기가 활발히 전승되고 있다. 줄다리기는 마을굿의 한 과정으로 연행된다. 줄다리기는 줄을 만들어 줄굿을 치고,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한 다음, 줄을 들고 마을을 한 바퀴 도는 오방돌기를 한다. 오방돌기를 마치면 당산에 줄을 감아 놓고 당산제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4. 매굿 고창 지역에서는 마당밟이를 매굿이라고 한다. 매굿은 마을의 당산제와 당산굿 전후에 가가호호 돌면서 진행한다. 마을의 모든 가정집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모닥불을 피워놓고 저녁 늦게까지 매굿을 쳤다. 매굿의 기본 구성은 ’문굿-마당굿-조왕굿-철륭굿-성주굿’이다.

  5. 풍장굿 풍장굿은 논매기 때 치는 농악으로, ‘두레 풍장’ 또는 ‘만두레 풍장굿’이라고도 한다. 논매기는 보통 세 번에 걸쳐서 하는데, 세벌매기에 해당하는 만두레 때 풍장굿을 친다. 논에 도착하면 영기, 장화, 굿패가 양쪽 논두렁에 서서 일꾼들의 흥을 돋운다. 일꾼들은 ‘어우름소리-진소리-논매기소리’로 구성된 소리를 하다가 마지막에 이르러 ‘외염싸기’를 하고 논매기를 마친다. 논매기를 마치면 농기, 영기, 장화, 무동, 상머슴, 주인, 일꾼, 굿패 순으로 마을에 간다. 이때 상머슴은 소 등에 타고, 주인은 지게에 올라타고 이동한다. 마을에 도착하면 닭죽을 쒀 다 같이 나눠 먹고, 밤새도록 판굿을 치며 논다.

    고창농악은 지리적으로 호남의 고창, 영광, 장성, 함평 등지에서 권역화된 영무장농악의 전통을 잇고 있다. 또한 세습무계 무부의 걸궁패 활동을 통해 농악 예능이 발달했고, 지역 농악의 틀도 마련되었다.

    걸궁패 활동이 활발해 걸궁패가 마을로 입장할 때 시험을 치르는 문굿이 발달했다. 그뿐만 아니라 고깔소고춤이 발달해 호남우도농악의 멋을 잘 보여준다. 판굿에서는 군사놀이와 농사풀이 형태가 함께 드러나는 특징이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고창농악 (2000.07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