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고창농악 판굿(2019청소년,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6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
참여지역 | 경기도 |
분야 | 농악 |
참여단체 | 시흥월미농악보존회 |
종목소개
‘시흥월미농악’은 군자성황제, 새우개 장승놀이와 함께 시흥시에 전승되어온 민속놀이 중 하나로, 조선시대에는경기 지방은 물론 궁중에까지 널리 알려졌던 농악이다. ‘상직[上職] 풍장’으로도 부른다.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동제[洞祭]를 지낼 때 놀던 농악으로, 공동체 의식과 일체감을 형성하고 마을의 화목을 촉진하는 대동놀이였다.
시흥월미농악은 시기마다 행하는 목적과 명칭이 달랐다. 정월대보름이면 세초[歲初] 벽사진경 및 기풍[祈] 행사 목적으로 하며, 5월에는 파종 때 단오, 6월 김맬 때는 농번기라 작업 능률을 올리기 위함이었다. 7월에는 일손을 놓고 허리를 펴는 때이므로 호미씻이 또는 백중놀이라 했고, 8월에는 농민들의 경사스러운 명절(한가위)을 보내기 위해, 10월에는 추수를 끝낸 후 공공을 축하하고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한 동제[洞祭]를 지낼 때 하던 풍물놀이였다. 그러나 그 목적이나 명칭과 관계없이 시흥월미농악이 농민들의 공동체 의식과 일체감을 형성하고 마을을 하나로 만드는 민중의 대동놀이였던 것은 분명하다.
연행순서의 세부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입장굿 입장 전 얼림굿으로 가락을 어른 후, 덩덕궁이 장단으로 입장해 인사굿을 진행한다.
돌림벅구 자즌가락을 연주하면 벅구들이 원진 안으로 들어가 또 하나의 작은 원을 형성해 돌림벅구를 진행한다.
칠채오방감기 칠채장단을 연주하며 멍석말이를 진행하고 자즌가락으로 풀어 나온다.
당산벌림Ⅰ 난타로 ㄷ자 형태의 당산을 만든 후 벅구양상치기, 벅구갈지자, 돌림벅구 순으로 진행한다.
당산벌림Ⅱ 당산벌림Ⅱ에서는 상쇠와 부쇠의 짝쇠놀음에 이어 채발림놀음, 소고좌우치기, 무동과 벅구잽이의 두줄백이 순으로 진행한다.
네줄백이 상쇠를 기준으로 네 개의 줄을 만들어 자즌가락 및 좌우치기를 진행 후 덩덕궁이장단으로 풀어 나온다.
쩍쩍이 춤 피조리가 원 안으로 들어가 작은 원을 형성해 쩍쩍이, 타령 장단에 맞춰 춤을 춘다.
밀벅구 덩덕궁이 장단에 맞춰 피조리들이 풀어 나오며, 큰 원을 형성 후 마당삼채장단으로 이어진다. 이때 벅구잽이들이 원안으로 들어와 작은 원을 형성하고, 자즌가락으로 넘어가 밀벅구를 진행하며 판을 마무리한다.
개인놀이 당산벌림형태로 진을 형성해 벅구놀이, 설장고, 열두발놀이를 진행한다.
퇴장굿 개인놀이가 끝난 후 덩덕궁이를 연주하며 원을 형성하고, 인사굿 진행 후 자즌가락으로 판굿을 마무리하며 퇴장한다.
시흥월미농악은 ‘쇠 짝쇠 놀음’을 시작으로 ‘칠채 오방감기’가 판굿 초입에 편성되는 특징이 있다. 무동과 소고의 농경모의 행위와 진풀이 형식이 다채롭게 구성되며, ‘짠지패가락’, ‘무등패가락’, ‘도드리가락’ 등 마을의 고유한 언어와 절차굿이 존재한다. 또한 벅구잽이들의 상모선이 깔끔하다. 힘 있고 절도있는 소고 동작과 웃다리농악의 꽃인 무동놀음 역시 특징을 이룬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