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논매기(1969,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경상북도
분야 민요
수상(단체상) 문공부장관상

종목소개

유래

경북 안동은 전승문화의 풍부한 유산을 지닌 고장이며 저전동 부락은 그 중심지의 하나이다. 저전동은 한양 조씨 동족부락으로서 주민들의 단합이 강한 곳이고 이 마을의 조씨는 일찍부터 길쌈과 농사에 종사하고 두레조직을 주도해 왔다. 이런 조건은 다채로운 민속예술을 육성하는 구실을 해왔는데 그 중에서 특히 주목할 것은 길쌈노래, 놋다리밟기, 논매기노래 등의 민요이다. 논매기노래는 언제부터 불리워졌는지 정확한 유래를 알 수 없고 한국민요의 기본 종목의 하나로 과거에는 널리 불리어진 것이나 오늘날 그 원형을 찾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저전동의 논매기노래는 탁월한 입담, 빼어난 목청, 능숙한 춤을 구사하는 조차기씨에 의하여 계속 전승되어 왔으며 지금도 우수한 기능보유자가 활동하고 있다.

특색

아이논매기노래는 ‘헤이 아이오 오오오’가 여음인 빠른 박자의 노래이고, 두벌논매기노래는 ‘얼럴럴 상사디야’가 여음인 느린 박자의 노래이다. 그러나 세 번째 논매기를 할 때에는 두벌논매기 노래를 되풀이하며 사설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선창자의 재량에 따라 불리어진다. 선창자는 일을 하지 않고 앞에 서서 사살을 선창하고 후창자들은 논을 매면서 여음으로 노래를 받는다. 다른 논으로 이동하거나 일터로 나가거나 들어올 때는 풍물을 치면서 ‘칭칭이’를 부른다.

구성

(1) 칭칭이 사설, ‘훗사나타령’ (2) 아이논매기 노래 사설, ‘군위색시’ (3) 칭칭이 사설, ‘삼냉이노래’ (4) 두벌논매기 사설, ‘유문성이타령’ (5) 칭칭이 사설, ‘훗사나타령’

내용

(1) 칭칭이 사설, ‘훗사나타령’_ 칭칭이 사설을 합창으로 ‘쾌지나 칭칭나네’를 부르고 선창자는 독창으로 사설을 하게 되는데 그 가사는 일정치가 않다. 훗사나타령은 어떤 계집이 서방이 출타한 틈에 훗사나이를 보다가 들켜서 혼이 나는 사건을 노래한 것이다. (2) 아이논매기 노래, ‘군위색시’_ 군위색시는 군위로 시집간 색시가 친청에서 베를 짜고 있다가 낭군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가는 내용이다.

(합창) 헤이헤이 가세 헤이헤이야헤요 워에 (독창) 하나누에 베틀놓고 고루몽에 이에울고 요네다리 두다리에 틀다리 네다리 마고악천 육아리에 옥난장에 얼레놓고 이에짜는 삼형제요 눌렁에는 호우래이 삼삭수에 비견머리 버리마네 빌레줄라 강강중이 익시몇 (합창) 헤이 아헤요 워예

(3) 칭칭이 사설, ‘삼냉이노래’_ 이 민요들은 중참 먹으러 가면서 논을 옮길 때 부른다. 삼냉이 노래는 길삼노래에서 유래된 사설이다. (4) 두벌논매기 사설, ‘유문성이타령’_ 두번논매기 노래 사설은 선창으로 하는 독창 가사는 일정치 않고 후렴으로 하는 합창은 ‘윙 월상사대이’로 한다. 유문성이타령은 유문성이라는 총각이 장가를 가는데, 신부가 해산했다는 소식이 와 상객은 돌아가고 신랑은 기여이 신부를 만나러 가는 흥미로운 사건을 다룬 것이다. (5) 칭칭이 사설, ‘훗사나타령’_ 논매기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갈 때 부른다.

문화재 지정 현황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안동저전동농요 (1980.12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