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기와밟기(1971,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12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
참여지역 | 전라북도 |
분야 | 민속놀이 |
수상(단체상) | 문공부장관상 |
종목소개
유래
기와밟기는 전북 임실군 신평면 덕암리에서 행해지는 민속놀이로서 매년 정월 대보름날 행해진다. 공주를 뽑아 소녀들이 허리를 굽혀 그 위에 태우고 노래 부르며 걸어가는 놀이로써 안동지방의 놋다리밟기와 놀이 형태가 유사하다. 이 놀이의 유래는 옛날 어느 난세에 공주가 피난을 가는데 다리가 없어 냇물을 건너지 못하자 마을의 소녀들이 기와형태로 몸을 굽혀 공주를 건네준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 기원설은 안동의 놋다리밟기의 그것과 거의 같은 것으로 임실의 기와밟기의 원류가 안동에서 비롯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어떻든 기와밟기는 놀이와 더불어 민요도 함께 구전되고 있어, 조선시대 중엽 이전부터 성행되었던 것만은 분명하다.
특색
기와밟기는 남자들의 참여가 금지된 부녀자들만의 놀이이다. 특별한 놀이도구 없이 서로의 몸을 부딪치며 노는 가운데 협동심도 기르고 노동과 농사일의 이중고에 찌든 피로를 말끔히 씻어내었던 점이 특징적이다.
구성
공주선발과 놀이, 두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정월 대보름날 저녁이 되면 마을 부녀자들이 저녁 설거지를 마무리 짓고 모여들기 시작한다. 노래도 부르고 놀이를 하다가 사람들이 모두 모이면 본격적인 기와밟기 놀이로 들어간다. 행렬의 맨 앞에는 40~50대 부녀자들이 놀이를 주관하며, 그 뒤를 20~30대의 부인들과 소녀들이 이어 허리를 굽혀 앞 사람의 허리를 두 팔로 감아 안는다. 미리 선발된 공주는 이들의 등 위에 올라서서 노랫소리에 맞추어 느린 걸음으로 걸어간다. 이때 공주가 쓰러지지 않도록 양쪽에서 시녀 두 사람이 손을 들어 부축한다. 공주를 등 뒤로 지나 보낸 사람은 다시 열의 맨 앞으로 가서 허리를 구부려 행렬을 계속 이어간다. 밤늦도록 노랫소리가 들려오고 여인네들은 놀이를 즐긴다. 앞줄의 부녀자들이 선소리를 메기면 뒤에 따르는 이들이 받는소리를 한다.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