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농악(1958,경상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경상남도
분야 농악

종목소개

유래

진주농악은 삼천포 농악과 함께 농악12채로 불린다. 농악에서 1채 2채 하는 것은 본래 쇠가락의 징의 점수를 가리키는 말인데 진주, 삼천포지방에서는 12채라는 말을 전용하여 굿의 순서를 12종으로 가르고 이것을 농악 12채라 하였다. 진주농악은 구경꾼에게 갖가지 농악을 보여주기 위하여 벌이는 일종의 판굿으로 기능보유자 황일백(1976년 작고) 상쇠에 의해 다듬어졌다.

특색

(1) 무용적 특색_ 치배들 전원이 전립을 쓰고 상모놀이를 하며 상모놀이에는 외상모, 양상모, 사사, 우물놀이 등이 있다. 법고놀이에 있어서 돌아앉기, 한발로 법고차기, 연풍대와 자반뛰기가 있으며 설장고놀이에 있어서 연기가 다양한 가락치기와 연풍대가 있다. 또한 달거리굿과 같은 노래굿이 있다. (2) 음악적 특색_ 악기에 있어서 소고와 법고가 구분되지 않고 징과북을 3~4개 쓰는, 경북농악과 호남농악의 중간 형태이다. 쇠가락은 거의 3분의 3박자이며 혼합박자는 잘 쓰이지 않는다. 또한 품앗이 가락과 굿거리를 별로 쓰지 않고 덧배기와 다드래기, 호호딱딱을 쓴다. 진주농악은 빠른 가락이 많아 힘은 있으나 맺고 푸는 기교가 약하며 구성진 흥이 덜하다. 반면 가락이 다채로워 흥겨운 느낌을 준다.

구성

진주농악은 기수, 포수, 양반, 집사, 상쇠, 목쇠, 끝쇠, 수징, 목징, 설북, 목북, 설장고, 목장고, 끝장고, 수법고, 목법고, 삼법고, 끝법고 등으로 편성한다. 판굿에 앞서 당산제, 우물굿, 지신밟기를 하는데, 판굿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열림굿 (2) 길군악 (3) 오방진 (4) 진풀이굿 (5) 영산다드래기 (6) 3채굿 (7) 앉은법고놀이 (8) 호호굿 (9) 등맞이굿 (10) 품앗이굿 (11) 달거리굿 (12) 8진해무진굿

내용

(1) 열림굿_ 3채를 지면서 일렬로 늘어선 다음 덧배기가락을 치면서 둥글게 늘어서서 구경꾼을 향해 일제히 절을 한다. (2) 길군악_ 왼편으로 원진하면서 길군악을 친다. (3) 오방진_ 반 3채 오방진가락을 치면서 오방에 차례로 진을 친다. (4) 진풀이굿_ 길군악을 치며 오른편 왼편으로 번갈아 돌고 춤을 춘다. 끝에는 다드래기로 몰아가며 도는데 법고잡이들은 연풍대를 한다. (5) 영산다드래기_ ‘자부랑깽’하고 영산다드래기가락을 치면서 소고잡이들은 을(乙)자로 나가면서 소리를 친다. (6) 3채굿_ 전원 3채굿을 치면서 연풍대로 돌다가 반 3채굿으로 돌아가는데 장고와 북이 춤을 추면서 옆치기로 뛰어간다. (7) 앉은법고놀이_ 꽹과리, 징, 장고, 북이 한줄, 소고잡이 한줄, 이렇게 두 줄로 마주보고 나서 상회는 덧배기가락을 치면서 법고잡이 한사람씩을 따가지고 가운데로 나오면 법고잡이는 외상모, 양상모, 연풍대, 자반뒤지기 등 갖가지 법고놀음을 한다. (8) 호호굿_ 왼편으로 원진하면서 상쇠가 호호굿가락을 친다. 상쇠가 ‘호호’하면 치배들은 악기를 ‘딱딱’친다. 10회 정도 반복한다. (9) 등맞이굿_ 굿거리를 치고 느린 춤을 추다가 3채굿을 치고 퉁퉁가락을 치면서 상쇠와 부쇠가 쇠를 땅에 놓고 앉아서 서로 등을 맞대고 춤을 춘다. (10) 품앗이굿_ 상쇠와 부쇠가 등을 맞대고 앉은 채 쇠를 들고 품앗이가락을 친다. (11) 달거리굿_ 농악대원들이 빠른 가락으로 3채굿가락을 치면서 법고와 상쇠가 한바탕 놀고 둥글게 돌면서 노래굿을 한다. (12) 8진해무진굿_ 굿거리, 덧배기, 3채굿을 치고 상쇠는 쇠를 끊어 “치배꾼들 들어보시오. 우리가 농악만 칠 게 아니라 별도 따고 임도 보고 허튼굿이나 해 봅시다”라고 한다. 그러면 치배들은 흩어져서 난장판이 된다. 상쇠가 다시 쇠를 끊고 “별따자 별따자 궁성 화성 별따자”하고 쇠를 한동안 친 다음 왼쪽으로 원진하다가 제자리에 서서 인사를 하고 마친다.

놀이기구

농악기(꽹과리, 북, 장고, 징, 법고, 쇄납 등)와 여러 가지 의상이 필요하다.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무형문화재 진주삼천포농악 (1966.06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