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금대방아타령(1972,충청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충청북도
분야 민요
수상(단체상) 대통령상

종목소개

유래

일반적으로 충청도에는 독특한 민요가 없다고 알려져 왔다. 그것은 충청도가 지역적으로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등의 접경지대이므로 다른 지방의 여러 민요와 혼용되어 왔기 때문이다. 통속민요인 ‘흥타령’이 유일한 충청도 민요라고 불릴 정도로 충청도 고유의 민요는 빈약하다. 방아타령의 기원이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다만 방아를 찧으며 부르던 부녀자들의 노작가요인 만큼 그 연원이 오래된 것임에 틀림없다.

특색

각 지방마다 향토요가 많이 전해 내려오고 있지만 특히 중원의 향토요는 다른 민요에서 볼 수 없는 특징과 유연성을 지니고 있다. (1) 모찌는소리_ 모심기 전에 모판을 찌면서 부르는 것으로 그 부근지방인 진천이나 음성지역과 조금씩 다르게 불린다. (2) 모심기소리_ 일명 ‘아라성’이라 하는데, 강원도아리랑이나 정선아리랑을 변형시킨 것으로 흔히 말하는 ‘메나리’로써 구성진 느낌을 준다. (3) 논매기소리_ 중원지방의 논매기소리는 초벌을 맬 때 긴방아타령으로 시작하여 중거리와 자진방아타령으로 다양하게 부른다. (4) 방아타령_ 가사는 충주 중원지방의 것이라 할 수 있고 가락은 판소리 심청전의 방아타령과 같이 전라도 방아타령의 변형이라 할 수 있다.

구성

(1) 제1부 ①모찌는소리 ②모심기소리 (2) 논매기소리 ①긴방아타령 ②탄금대방아타령

내용

(1) 제1부 ①모찌는소리 : 빈 광장에 모판을 배치해놓고 선창 후창의 형식으로 부른다.

여보시오 농부님들 이못자리를 절우소 절우자 절우자 이못자리를 절우자

②모심기소리

여기 꽂고 저기 꽂고 삼백출 자리만 꽂아주게 아라성아 아라서엉아 아리랑 얼싸 아라성아

(2) 제2부 : 논매기소리-방아타령 흰 광목 치마저고리에 수건을 쓴 부녀자들이 도구방아, 디딜방아, 연자방아를 찧으면서 부른다. ①긴방아타령

(후렴) 어기야 에헤로 방아로다 지조창생 한 연후에 탄금대가 여기로다 청풍명월 우리고장 방아소리로 이름이났네

②탄금대방아타령

(후렴) 어유하 방아여떨그렁 떵떵 잘도 찧는다

문화재 지정 현황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충주 마수리 농요 (1994.12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