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지신밟기(1972,부산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부산시
분야 민속놀이
수상(단체상) 문공부장관상

종목소개

유래

지신밟기는 옛날부터 해마다 음력 정월 보름 경에 영남 각 지방 농민들 사이에서 행해져 오던 일종의 가면행렬놀이이다. 이 놀이에서 마을사람들은 지신을 진압하여 마을과 집안의 평안을 빌고 나아가서는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였다. 지신밟기는 원래 그 이름에서도 연상할 수 있듯이 뛰고 춤추며 간간히 기원의 풀이를 읊는 것이 원형이었다. 그러나 약 400년 전의 임진왜란 이후 마을사람들이 두 양반과 각시 그리고 하동과 포수를 등장시켜 좀 더 재미있는 극적인 구성으로 개편하여 발전시켰다. 오늘날의 동래지신밟기는 조선시대 말의 것을 원형으로 설정하여 그대로 재현한 것이다.

특색

관중들로 하여금 흥미를 느끼고 웃음을 자아내는 소극으로 되어 있다. 이 지신밟기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사대부 팔대부, 포수이다. 마당, 부엌, 광 등에서 지신을 밟을 때는 반드시 ‘좋고 좋은 지신아 잡귀잡신은 물알(아래)로 천신만복은 이 집으로’라고 소리를 하면서 춤을 춘다. 지신을 밟아 주면 집주인은 사례로 술, 곡식, 금전을 내놓는데 곡식과 금전은 그 부락의 공동사업에 쓰여졌다.

구성

동래지신밟기의 각 과장은 다음과 같다. (1) 첫째마당 : 주산지신풀이_ 우리나라에 있는 큰 강과 이름난 산의 생성 배경을 이야기하고 주산님께 기원하는 내용이다. (2) 둘째마당 : 당산지신풀이_ 오방의 당산님께 주민들의 복을 기원하는 마당이다. (3) 셋째마당 : 김생원댁 지신풀이_ 마당풀이, 대청풀이, 큰방성주풀이, 각방치장풀이, 조왕(부엌)풀이, 샘(우물)풀이, 장독풀이, 광풀이, 뒷간풀이, 대문풀이, 주신풀이 등의 순서로 마지막 대문풀이를 마치면 주인이 장만한 음식을 먹고 작별인사를 한 후 물러난다.

내용

대문 안으로 들어온 사대부의 주인 김생원이 서로 맞절로써 인사하려 할 때 양반 행세를 하면서 으스대는 것이 소원인 하동이 갑자기 가운데 끼어들어 김생원의 절을 가로 채어 받는다. 어처구니없는 사대부는 부채로 하동의 머리를 때린다. 이를 본 포수가 하동을 끌어낸다. 김생원댁 앞뜰에서 각시와 하동이 흥겹게 대무를 하고 있는데, 포수가 와서 각시를 옆치기하여 끌고 가 관심을 사려고 한다. 하동이 화가 나서 뒤를 쫓자 하동의 치정을 두려워한 포수는 각시를 사대부에게 맡긴다. 하동은 사대부에게 꼼짝 못하고 도리어 절을 하고 물러난다. 조왕풀이가 시작될 때 포수가 부엌에 들어가서 조리와 주걱을 하동이에게 달라고 한다. 그러나 포수가 이것을 집주인에게 팔겠다고 하면서 하동을 상대해주지 않자 하동은 “점잖고 믿음직한 사대부에게 부탁하여 집주인에게 팔게 하면 안심할 수 있지 않겠느냐”하고 제안한다. 하동은 조리값이 나오면 가로챌 생각이었으나 사대부가 먼저 슬쩍 가로챈다. 포수가 억울하고 분해서 하동을 야단하자 난처한 하동은 범이 나왔다고 고함을 쳐 포수를 정신 못 차리게 만든다. 원래 이 포수는 집집마다 돌면서 가재도구나 훔치는 겁쟁이 포수로 범이 나왔다는 소리를 들으면 똥을 싼다는 것이다. 원양반(사대부)에게 가로채임을 당한 하동은 조리를 판 돈을 빼앗기 위해 사기도박을 벌려 사대부가 사기해 간 돈과 노름판 돈을 몽땅 챙겨 달아나 버린다.

문화재 지정 현황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동래지신밟기 (1977.11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문서자료

파일명 요약
DOC_1972_제13회_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_부산시대표_동래지신밟기_팜플렛.pdf 제1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부산시대표 동래지신밟기 팜플렛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