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영변가놀량(1974,평안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15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
참여지역 | 평안북도 |
분야 | 민요 |
수상(단체상) | 장려상 |
종목소개
영변가는 서도잡가 중의 대표적인 곡이다. 서도잡가는 긴난봉가, 중난봉가, 자즌난봉가, 병신난봉가 등과 놀량사거리, 중거리, 경발림, 공명가, 앞산타령, 뒷산타령, 개타령, 섬마타령, 방아타령, 배따라기 등이 있다. 남도창과 쌍벽을 이루는 서도잡가 중에서 영변가는 영변의 빼어난 경치를 표현한 노래이다. 놀량은 서도입창의 하나이다. 서도입창은 서도지방에 불리워진 노래의 총칭인데 입창이란 소리꾼들이 서서 발림하면서 부르는 노래를 가리킨다. 놀량은 경기놀량에서 파생되었다. 산수를 구경하며 한판 놀이를 펼치면서 부르는 노래로서 당시 사대부가 집중적으로 살았던 경기지방에서 놀량이 탄생되어 평안북도까지 퍼지게 되었다. 서도입창이 황해도, 용강, 평양, 강서 등지에서 불리워지지만 평안북도 놀량은 묘향산을 주제로한 노래이다. 영변가는 서민의 정서를 반영해 길게 늘어지지 않고 듣는 이로 하여금 따분하지 않게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유창하고도 흐늘거려서 듣고 부르는 삶으로 하여금 멋을 느끼게하고 흥을 돋운다. 서민들이 양산대를 바라보는 감흥을 노래한 것이므로 씩씩하고, 상청으로 목소리는 뻗어올리는 멋스러움을 간직하고 있다. 놀량은 말도 알아듣기 쉽게 부르는 노래로써 처음에는 4박자로 부르다가 둘째마디에서는 3박자, 4박자 어수선히 부르다가 느려지는 도드리로 변주가 되고 종장에서는 자진타령으로 리듬이 빨라져 경쾌한 곡조로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내용
서도잡가인 영변가와 놀량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영변가_ 영변가는 예전에는 10절이나 되는 구조로 불렸으나 60~70년 전부터는 신조로 된 3절은 곡이 같고 4절, 5절은 각기 변조가 된다. 영변 약산대의 진달래꽃이 만발한 경치를 보며 인생의 허무함을 노래한 곡이다. ‘웃동짧고 아래아랫동 팡파짐한 아희들아 날 살려주렴’에서 보여지듯이 날마다 새롭게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힘을 느끼고 있는 반면 자신의 늙어가는 처지를 서글퍼하는 심정을 절절히 노래한다.
노자에-노자노자 젊어서 노잔다 나도많어 병이나 들며는 못노리로다 영변의 양산의 동대로다 부디 평안히 어 잘있거나 나도 명년양춘은 가절이로다 또다디 보다 오동의 복판이로다 거문고로구나 둥당실 슬기덩 소리가 저절로 난다 달아에-달아달아 허공중천에 두둥실 걸리신 달아 임에나 창천이로구나 비치신 달아 아서라 말려무나 네 그리 말려무나 사람의 인정의 괄시를 네 그리마라 남산을 바라다보니 진달화초는 다 만발하였는데 웃동짧고 아래아랫동 팡파짐한 아희들아 날 살려주렴 자규야 우지를 마라 울려거든 너혼자 울께지 여관한등 잠들은 날까지 왜 깨워주나 일락은 융지황혼되고 일출어동령이로구나 달 솟아온다 양덕맹산 흐르는 물은 부벽루하로 감돌아든다 삼산은 반락이로다 목단복되고 이수는 꺼정청 뛰어 준라도로다
(2) 놀량_ 놀량은 전체가 한 곡조이다. 구조는 어려워서 쉽게 창작된 것인데 장고를 메고 한사람이 메기면 출연한 사람 모두 합창하는 식이다. 내용은 묘향산의 기가 막힌 경치와 사람들의 사랑을 갈구하는 것이다.
에라디에 어허야 요홀 네로구나 녹양에 벋은 길로 북향산 쑥 들어도 간다 에헤에헤 이여-어허야 요홀 네로구나 춘수는 낙락 기러기나니 훨훨 낙락장송이 와자직근도 다 부러졌다 마들가지 남아 지화자자 좋을시고 지화자자 좋을시고 얼시구나 좋다 말 들어도 보아라 인간을 하직ㅎ고 청산을 쑥 들어도간다 에헤에헤이여 어혀야 요홀 네로구나 황홀 아니 거러검쳐 잡고 성황당 숭벅쿵새 한 마리 남게 앉고 또 한 마리 땅에 앉아 네가 어디뫼로 가자느냐 네가 어디뫼로 가자느냐 네가 어디뫼로 가자느냐 이산 너머가도 그리 숭벅궁새야 저산 너머가도 거리 숭벅궁새야 에- …(중략)…
문화재 지정 현황
-평안북도 무형문화재 영변성황대제 (2007.10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