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괴산백중놀이(1974,충청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15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
참여지역 | 충청북도 |
분야 | 민속놀이 |
종목소개
우리나라의 음력 7월 보름은 백종 또는 백중, 머슴의 날이라 부르는 농민의 명절이있는데, 괴산지역에서 특별히 이 백중날을 호미씻는 날로 해서 특별한 놀이를 한다. 이 무렵에 농사일이 거의 끝나게 되고 그동안 논밭을 매고 뜯는데 쓰던 호미가 필요 없게 되어 호미를 씻어둔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예로부터 어정 7월, 동동 8월이란 말이 있어서 7월은 바쁜 농번기로 보내고, 한편으로는 가을 추수를 앞둔 8월에 잠시 허리를 펼 수 있는 시기라는 말이다. 그래서 백중날을 전후해서 장이 서고 머슴들과 일꾼들에게 돈과 휴가를 주어 즐겁게 놀도록 하는 풍습이 있는데, 해마다 백중이 되면 머슴들과 농사꾼들은 특별히 장만한 아침밥상을 받게 되고 새옷과 돈을 받는데 이것을 ‘백중돈 탄다’고 한다. 경우에 따라 백중돈은 아이들도 타는데 그날을 백중돈을 탄 머슴이나 일꾼들이 장터에 나가 물건을 사거나 놀기도 하는데, 이때 서는 장을 특별히 ‘백중장’이라 해서 풍장이 울리고 씨름판이 벌어지며 그네뛰기 등이 열린다. 장에는 난전이 벌어져 갖가지 흥미있는 오락과 구경거리가 있어 농사에 시달렸던 머슴이나 농사꾼들은 마냥 즐길 수 있는 것이었다. 괴산지방에서는 머슴이나 농사꾼들이 백중 한달 전부터 밤이 되면 동네 큰 사랑이나 동구나무 밑에 모여 그 집에 필요한 멍석, 삼태기, 둥구녘 등을 만들기 시작한다. 그리고 드디어 백중날 아침이 되면 그동안 만든 멍석, 삼태기 등을 안마당에 던지면서 “멍석 사시오”하고 외친다. 그러면 주인집에서는 미리 술과 떡을 마련하였다가 새옷 한 벌과 백중돈을 태워준다. 돈을 탄 머슴이나 일꾼들은 새 옷을 입고 풍장을 치면서 동네 큰 마당에서 모두 모여 흥겹게 논다. 그 때 온 마을 사람들이 모여들고 동네 어른들은 그 해에 농사를 가장 열심히 모범적으로 지은 머슴을 뽑는데, “아무개가 상머슴이다”라고 발표되면 모두가 지명된 상머슴을 헹가래치며 함성을 지르며 축하해 준다. 그리고 지명받은 상머슴을 황소에 태우고 얼굴에는 환칠을 해주고 버드나무 잎사귀로 관을 만들어 씌우고 도롱이를 입힌다. 또 황소에 태워 끌고 다니면서 “상머슴 사시오”라고 외치며 풍장을 치고 춤을 춘다. 이렇듯 괴산의 백중놀이는 농사를 권장하며 모든 농군들에게 여름철 농사일에 지친 피로를 풀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주는 슬기어린 민속놀이다.
내용
백중놀이는 (1) 백중날 아침 상머슴 뽑기, (2) 마을 순례, (3) 혼례의 과정으로 전개되는데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백중날 아침 동네 넓은 마당에 농악이 울려퍼지면 마을의 남녀노소가 모여든다. 모여든 사람들이 신바람이 나서 노래하고 춤을 추는데 멍석, 멧방석, 둥구녘 등을 어깨에 매거나 손에 든 머슴들이 몰려나와 마당에 내동댕이친다. 동네 어른들은 모여서 상머슴 뽑기를 의논한다. 마을 어른 한 사람이 뛰어노는 군중을 멈추게 하고 상머슴으로 뽑힌 이의 이름을 알린다. 머슴과 일꾼들은 환성을 지르며 헹가래 친 다음에 얼굴에 환칠을 하고 도롱이를 입힌 다음 버드나무 관을 씌우고 소를 태운다. 다음으로 마을을 순례하는데, 농악을 치면서 소를 탄 상머슴을 앞세우고 호별방문을 한다. 집 대문 앞에서 상머슴을 팔고 집주인으로부터 돈을 받거나 음식대접을 받는다. 또한 돌아다니다 우물이나 샘 옆을 지날때는 우물굿인 용왕풀이를 한다. 이 때 마당 가운데에서는 젊은 아낙네들이 노래를 부르며 또아리 돌리기 등으로 흥을 돋운다. 마지막으로 혼례마당이 펼쳐진다. 동네 어른들은 다시 상머슴을 장가들일 의논을 하고 신부감이결정되면 모든 움직임을 멈추게 하여 상머슴의 혼인을 알린다. 환성이 터지고 풍장이 울리고 모여든 사람들이 상머슴을 다시 소에 태우고 여자들은 신부를 가마에 태운다. 농악대가 앞장서서 신랑, 신부를 태운 소와 가마가 동네 넓은 마당을 돌고 사람들이 흥겹게 뒤따른다.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