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놀이(1975,충청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6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충청남도
분야 민속놀이

종목소개

한가위에 대한 유래는 다음과 같다. 당나라 문종(827~840) 때 이본 승려 원인(圓仁)이 쓴 󰡔입당구법 순례행기󰡕에 보면 ‘산동지방에 머무르고 있는 신라인들은 8월 15일에 독특한 명절놀이를 하였다. 그곳 노승에 따르면 이날이 신라가 발해와 싸워 크게 이긴 기념일이기 때문에 이날을 명절로 삼아 백성들이 갖은 음식과 가무로써 즐겁게 놀았다고 한다’라는 기록이 있다. 또 󰡔삼국사기󰡕에는 ‘신라 유리왕 9년에 국내 6부의 부녀자들을 두 편으로 갈라 두 왕녀가 각 편을 인솔․지휘하여 7월 기망(16일)부터 8월 보름까지 길쌈내기를 하였다. 그후 우열을 가려 승부를 결정하고 진편에서 술과 음식을 차려 이긴 편을 대접하게 되었다. 이날 달 밝은 밤에는 밤이 지새도록 노래와 춤을 추며 흥겹게 놀았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것으로 보아 한가윗날은 우리 겨레의 전통적인 명절로 술과 음식을 나눠 먹으며 노래와 춤과 갖가지 놀이로 하루를 흥겹게 보냈음을 알 수 있다. 한가위놀이는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따라서 각 지역마다 독특한 놀이가 있는데, 그 중 충청남도 지역에서는 거북과 소가 등장한다. 또한 군사놀이, 꼬리따기 등으로 이어지는 독특하고 다양한 놀이가 장중하면서도 경쾌한 충남농악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고 있다.

내용

충청남도 지역의 한가위놀이에서는 (1) 거북놀이, (2) 소놀이, (3) 군사놀이, (4) 꼬리따기 등의 다양한 놀이들이 연출되는데 각 절차별로 매우 특별한 놀이들이 이어진다.

(1) 거북놀이_ 한가위 밤에 청소년들이 거북을 만들어 한 사람이 거북을 몰고 다닌다. 집집마다 찾아다니다가 거북이가 쓰러진다. 그러면 거북몰이 하는 이가 ‘이 거북이는 안면도 앞바다에서 왔는데 배가 고프니 먹을 것을 좀 갖다 주시오’라고 음식을 청한다. 주인은 곧 푸짐한 상을 보아 내온다. 먹이를 받은 거북은 좋아서 마을 사람들과 뛰며 놀다가 다른 집으로 이동한다.

(2) 소놀이_ 한 사람이 소의 고삐를 잡고, 다른 사람은 소 앞에서 신명나게 농부가․풍년가․논매기노래를 부른다. 이때 마을 상머슴은 소 등에 타고 신명나게 춤을 춘다. 소고삐를 잡은 사람이 ‘이 소가 여름내내 논밭을 가느라고 고생이 많았으니 잘 먹이시오’라고 하면 아낙네가 구정물과 여물을 가져다준다. 그러면 농악과 함께 춤을 추고 논다.

(3) 군사놀이_ 소놀이를 한바탕 놀다가 농악이 그치면서 소년들이 군사놀이를 시작한다. 남자아이들이 두 줄로 5보 정도 거리를 두고 마주선다. 이때 옆사람과 손을 잡고 노래를 부른다. 노래에 맞추어 한 열이 6보 정도 나아가면 다른 열은 말없이 6보 정도 후퇴했다가 상대 열의 노래가 끝남과 동시에 답가를 부른다. 답가를 부르면서 6보 정도 전진하면 상대 열은 후퇴한다.

놀이에 쓰이는 노래는 다음과 같다.

어디 군사냐 전라도 군사다 명천 명 왔니 삼천 명 왔다 무슨 갓 썼니 통영갓 썼다 무슨 칼 찼니 장두칼 찼다 무슨 신 시었니 가죽신 신었다 무슨 옷 입었니 갑옷을 입었다 뭐하러 왔니 싸우러 왔다 무슨 문 열었니 동대문 열었다

노래가 그치면서 함성과 함께 대열이 흩어져 싸우는 시늉을 하다가 상대편을 잡아당겨 자기편으로 끌어간다. 그러면 농악소리와 함께 놀이가 끝나고 꼬리따기 대열로 바꿔서 정돈한다.

(4) 꼬리따기_ 맨 앞에 장수가 서고 키 큰 순서로 서되, 앞 사람의 허리띠를 두 손으로 잡는다. 맨 뒤에는 가장 나이 어린 사람이 선다. 두 줄로 열을 지으면 앞의 장수끼리 서로 길을 막고 대치하다가 상대편의 꼬리를 잡으려고 덤빈다. 따라서 장수는 상대 장수의 길을 막거나 재빨리 상대방의 꼬리를 잡을 수 있도록 꾀를 쓴다. 이때 꼬리를 잡히거나 허리띠를 놓치는 쪽이 진다. 일단 승부가 나면 이긴 쪽이나 진 쪽이나 함께 춤추고 놀면서 흥겹게 화합의 마당을 연출한다. 거북놀이를 할 때 쓰이는 거북은 천으로 제작하여 속에 사람이 들어가 놀게 된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