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문진또배기(1979,강원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강원도
분야 민속놀이
수상(단체상) 문공부장관상

종목소개

강릉시 경포호수 옆에 위치한 강문마을에는 풍어를 기원하는 민속놀이인 진또베기가 전해져오고 있다. 진또베기의 본래 뜻은 ‘하늘기둥’ ‘나라중앙기둥’이며 이 진또베기에 소원을 빌며 제사지내는 것을 ‘진또베기굿’이라 한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어촌인 강문마을에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토착신앙인 진또베기 의식이 지켜져 내려오고 있는데 이것은 강문마을에만 전해져 오는 의식은 아니다. 진또베기는 중앙아시아 전역에 걸쳐 분포,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 원시신앙이 토착화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강문마을의 경우 해마다 정월대보름과 사월보름, 그리고 팔월 한가위 때 마을에 모시고 있는 여서낭과 남서낭에 제사를 올리고 큰 마을굿을 벌이고 있다. 이와 같은 강문 진또베기가 어떻게 해서 이 고장에 전승되고 있는지는 우리나라 민속학계의 큰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 중앙아시아 전역에 걸쳐서 분포, 전승되고 있는 진또베기가 강원도 강문지방에 전승되었다는 점 자체가 특이하다고 하겠다.

내용

강문의 진또베기놀이는 (1) 제사와 발원굿, (2) 용왕굿, (3) 뱃노래, (4) 놀이굿의 순으로 진행되는데, 그 진행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강릉시 강문마을에서는 오랜 선대부터 진또베기라 부르는 수살간을 세우고 매년 세 차례씩 부락제를 지내고 있다. 부락신을 모신 서낭신은 남녀 두 서낭이 자리잡고 있느느,데 남서낭은 마을 남쪽 소나무숲에, 여서낭은 북쪽 죽도라 불리는 조그마한 동산에 모셔진다. 두 서낭 간의 거리는 약 1백미터이며 두 서낭의 중간지점에 진또베기가 서 있다. 진또베기의 꼭대기에는 세 갈래로 된 나뭇가지가 받쳐져 있고 나뭇가지에는 나무로 깎아 만든 오리가 각기 한 마리씩 북쪽으로 머리를 향하고 앉아 있다. 이 마을에서는 진또베기가 마을의 삼재, 즉 수재․화재․풍재를 막아주는 영험을 가졌다고 믿고 있다. 이 풍어제는 어업에 종사하는 부락민들의 제사로 이 제사의 주측은 굿이다. 굿에 앞서 4월 14일 자정으로써 이 풍어제는 막을 올린다.

(1) 제1과장_ 여서낭과 남서낭에서 각각 제사를 지낸 다음 서낭에 모여 풍년․풍어를 비는 제사와 아울러 발원굿을 한다. 이 굿에서 무녀가 부정굿과 부락의 풍어를 빌며 삼재를 막는 사설을 엮는다. (2) 제2과장_ 발원굿을 마친 무녀와 주민은 바닷가에 있는 배로 나가 용왕굿(물굿)을 하여 각 배의 풍어와 안녕을 빌며 지신을 밟아준다. (3) 제3과장_ 굿을 마친 어부들은 만선의 꿈을 안고 바다로 나간다. 이때 어부들은 뱃노래를 힘차게 부르며 노를 젓는다. (4) 제4과장_ 만선의 기쁨을 이기지 못하는 주민과 어부들은 진또베기 서낭에 모여 무녀와 함께 진또베기 서낭에 감사하는 놀이굿을 벌이고 한껏 흥을 돋운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