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백중놀이(1981,경상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2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경상남도
분야 민속놀이
수상(개인상) 개인상 (하보경)

종목소개

이 놀이는 오랜 옛날부터 이곳 경상도 밀양 땅에서 전해오는 민속놀이로서 춤을 위주로 노는 놀이이다. 농촌에서 힘겨운 세 벌 논매기를 끝내고 백중(百中)을 전후한 용날(辰日)을 택하여 머슴들이 풍년을 비는 뜻으로 농신(農神)에 대한 고사를 지낸 다음 ‘꼼배기 참놀이(洗鋤宴)’을 할 때 여흥으로 여러 가지 놀이판을 벌려온 데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놀이는 勢道하는 양반들에게 시달림을 받아오던 서민들이 서로의 哀歡을 달래는 풍자놀이로 엮어진다. 양반들에 대한 서민들의 풍자와 익살을 부리는 내용이 갖가지 춤으로 표현되는 것이 특색이다. 특히 그 중에서도 ‘오북춤’과 ‘병신춤’ ‘범부춤’은 각각 독특한 춤사위(고개놀림, 어깨춤, 한발뛰기)로 독특한 배김새가 담겨져 있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악기 외에 물장고(물버지기에 바가지를 엎어놓고 두드린다)와 사장고(독뚜껑 두 개를 나무틀에 뒤를 맞대로 만든 것) 등 특수 악기가 쓰여지고 있는 것 또한 특색이다.

첫째마당인 앞놀음에서는 농신제 고사장을 깨끗이 하는 뜻으로 오방신장(五方神將)을 불러 일으켜 ‘잡귀막이’굿을 먼저 하고, 모정자 놀이를 해서 흥을 돋운다. 그리고 덧배기 춤으로 한바탕 놀다가 농신에 대한 고사풀이를 한다. 농신제(農神祭)는 놀이판 한 가운데 저릅대(麻芋) 등을 넣은 주머니를 주렁주렁 매달고 둥그렇게 둘러서서 세 번 절하며 그 해의 풍년과 오복(五福)을 빈다. 둘째마당인 놀음마당에서는 농사 장원(座上, 務上)을 태울 작두말(지게목발로 만든 말)을 타고 나와서 ‘말놀음’을 하다가, 다시 양반을 꾸며서 작두말 놀이를 한다. 머슴들끼리 노는 놀이판에 별안간 양반이 뛰어들어 머슴들을 물리치고 거드름을 피우면서 양반춤을 즐기고 있는데, 머슴들과 정지꾼(부엌일 하는 여인)들이 여기저기에서 나타나 갖가지 ‘병신춤’으로 양반을 놀린다. 나중에는 양반이 물러나고 서민들끼리 서로 격려하는 춤으로 어울린다. 뒤로 물러나던 양반이 흥에 겨운 듯 범부(凡夫) 차림으로 나타나 독특한 배김새로 ‘범부춤’을 추면서 신나게 논다. 셋째마당인 신풀이에서는 북잡이들이 큰 북을 메고 나와서 오북(五鼓)놀이를 한다. 이 오북놀이는 ‘북춤’으로 이루어진다. 이 놀이는 五行과 五氣가 순조롭기를 빌며, 五體가 성하고 五穀이 잘 되고 五福을 누릴 수 있기를 비는 뜻이 담겨져 있다. (이 오복춤은 오직 百中놀이에마나 유일하게 있으며 다른 놀이에서는 없다.) 오북놀이에 이어, 끝놀음으로 모든 놀이꾼들이 한꺼번에 나와서 구경꾼들과 어울려 和同하는 춤으로 대단원을 이룬다.

놀이가 진행되는 동안 쇠가락은 농악가락으로 이끌어 나간다. 장단은 덧배기장단, 중모리, 중중모리(협률사 가락과 양산도가락), 단모리, 휘모리 등 가락이 과장(科場)에 따라 적절히 구성되어 있다.

등장인물과 차림새를 정리해 보면, 양반(兩班)은 도포 입고 관 쓰고 미투리 신고 부채를 든다. 범부(凡夫)는 흰 중의(袴衣)적삼에 상투 쫏고 대님 웃댕기 메고 미투리를 신는다. 좌상(座上)은 돌매 삿갓 뒤집어쓰고 띄우장(雨蓑) 거꾸로 입고 얼굴에는 황칠을 한다. 수총각(首總角)은 큰 삿갓(日傘) 들고, 댕기머리를 걷어 올린다. 머슴들중 어른은 흰 중의적삼에 상투 쫏고 중의는 걷어 올린다. 새끼허리띠에 논고동(논매기할 때 손가락 끝에 끼는 것)차고 짚신을 신는다. 머슴들 중 총각은 차림새는 어른과 같고 머리는 댕기머리를 한다.

놀이에서 불려지는 모심기 노래와 농신제 축원은 다음과 같다.

① 모심기 노래 한강수에 모를 부어 모쩌내기 낭감하네 하늘에다 목화심어 목화따기 낭감하네 물길일랑 처정청 흐려놓고 주인네 양반 어디에 갔노 문어야 대전복 손에 들고 첩의 집에 놀러갔나 밀양아 삼랑아 국노숲은 가락왕의 유람터요 칠보단장 곱게하고 왕의 행차 구경가세

모야모야 노랑모야 언제커서 영화볼래 오월유월 두달커서 칠팔월에 영화본다 이논뱀이 모를 심어 잔잎나와 영화로다 꽃밭속에 나비놀고 구름속에 신선노네 지시골 바람이 살살불어 도련님 부채가 툭널쪘네 어따야! 그 처자 왈자로다 도련님 부채를 주어주네

② 농신제 축원 하늘위에 상재님 천상천하 용왕님 바람기 순조롭고 멸구잡충 없이하여 금년농사 잘도해서 총각신세 면케하고 차디착한 어진백성 걱정일랑 들어주소 아랫논에 용신님 윗논에 용신님

들쥐도 막아주고 나는새도 막아주고 회기좀도 막아주고 모개좀도 막아주고 근좀도 막아주소 엇따 고시래 총각신세 못 면하면 농신이고 놋이고 나는 떡이나 먹을래요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무형문화재 밀양백중놀이 (1980.11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문서자료

파일명 요약
DOC_1981_제22회_전국_민속예술_경연대회-밀양백중놀이_프로그램북.pdf 제22회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밀양백중놀이 프로그램북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