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고산농악(1982,대구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대구시
분야 농악
수상(단체상) 문공부장관상

종목소개

이 놀이가 전승되고 있는 대구직할시 수성구 내환동은 고려시대부터 ‘곡기’라 불리우는 옛 ‘서울나들이’에 위치한 전형적인 자연촌락이다. 이곳에서는 음력 정월 보름에 동제를 지내는데 이 동제의 왕복길에 농악을 했다고 전한다. 고산농악의 발생한 뚜렷한 시기와 구체적인 발전경로는 알 수 없으나 오랜 옛날부터 전승되었다는 설로 미루어 농경사회가 시작되면서부터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옛날부터 ‘농사가 잘 되려면 농악을 잘해라’라는 선조들의 말이 전해졌는데 이 말이 하나의 믿음이 되어 농악이 토착화 되었다고 한다. 고산 농악은 농악 고유의 전통미를 잃지 않고 향토색 짙은 마을 단위의 농악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정월에는 지신밟기, 초여름에는 논매기농악, 가을에는 추석농악 등 시기별로 나누어 농악을 했다. 연행과정에서 닭쫓기놀이는 이 마을에만 있는 독특한 놀이이며, 흰색의 고깔은 다른 지방의 것보다 2배 이상 큰 것이 특징이다.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볼 때 가락이 훨씬 소박하다. 고산농악은 당산제굿(중당산제굿, 하당산제굿), 지신밟기(문굿, 성주풀이, 조왕풀이, 장고풀이, 용왕풀이, 방앗간풀이, 마당풀이), 판굿(태극가락, 삼방진, 덧베기춤, 우장작꽹이, 농사굿, 법고놀이, 장고놀이, 북놀이, 징놀이, 상모놀이, 뒷풀이)으로 진행된다. 당산굿에서는 중당산제굿과 하당산제굿이 차례로 열리는데, 중당산제굿에서는 잽이들이 길매구가락을 치면서 길놀이를 하고 사람들은 중당산나무 주변으로 모여든다. 이때 제관과 축관은 재배하고 축문을 낭독한 뒤 다시 재배하고 음복한 다음 축문을 불사른다. 이 굿에서는 쇠가락은 덧베기, 천왕가락, 우장작꽹이이다. 길군악을 하면서 노는 길놀이가 끝나면 하당산제굿으로 들어가는데 여기서는 중당산제굿의 내용을 그대로 시행한다. 당산제굿이 끝나고 지신밟기로 들어가면 잽이들은 문 앞에서 “주인 문여소 나그네 손님 더 간다.”라고 외친 후 농악을 하는 문굿과 마루에 제물을 차려 놓고 덧베기가락에 맞추어 노래하는 성주풀이를 한다. 그런 다음 부엌으로 가서 조왕풀이를 한다. 이어 장고방에서는 장고풀이, 장독대에서 하는 용왕풀이, 방앗간에서 하는 방앗간풀이, 마당굿인 마당풀이가 끝나면 판굿이 열린다. 판굿이 시작하면 잽이들은 상쇠의 지휘에 따라 원진과 태극무늬를 만들며 방향을 바꿔가며 돈다. 전원이 2열 종대를 만들어 좌우측의 잽이들이 뒤로 멍석말이와 멍석풀이를 계속한다.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렬로 돌아가면서 덧베기 춤을 춘다. 모든 잽이들은 느린가락으로 행진무를 하고 소고잽이들은 왼발 오른발 순으로 한발뛰기를 하면서 원을 돈다. 모든 잽이들은 제자리에서 연주하고 소고잽이들은 맨 앞에 일렬횡대로 선 다음 한 해 동안의 농사짓는 과정을 흉내내 보인다. 법고잽이들은 원을 중심으로 나와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소고를 발로 차면서 도는 동작, 또는 한발을 번갈아 돌면서 원을 도는 동작을 한다. 상쇠가 가락을 끊으면 장고잽이들이 원의 중심으로 나가 한발들기를 하면서 원을 돌아 제자리로 온다. 북잽이가 원의 중심으로 나가 북한번치기를 하면서 덧베기춤을 추고 원을 돌아 제자리로 온다. 징잽이들이 원의 중심으로 나가 덧베기춤을 추면서 시계방향으로 돈다. 이 때 나팔이 흥겹게 연주된다. 쇠군들이 원의 중심으로 나와 부포를 한쪽으로만 돌리는 윗상매와 부포를 좌우로 번갈아 가면서 돌리는 양상매의 묘기를 부린다. 구경 나온 사람들이 끼어들어 판을 흥겹게 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고산농악 (1984.07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