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방아놀이(1982,평안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평안북도
분야 민속놀이
수상(단체상) 장려상

종목소개

평안북도 구성지방에 전해오는 발방아 놀이는 농사를 주업으로 살아온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놀이이다. 방아는 찧는 방법에 따라 손으로 찧는 도구방아, 발로 찧는 디딜방아, 소가 돌아가면서 찧는 연자방아, 물로 물레를 돌려 찧는 물레방아 등이 있는데 발방아놀이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어졌던 디딜방아를 모델로 하고 있다. 현대와 같이 기계화되지 않았던 시절에 방아찧기는 더딜 수밖에 없었고 아낙네들은 방아찧기와 길쌈으로 온 겨울을 지내야 했다. 그래서 무료함을 달래거나 고된 노동의 힘겨움을 잊기 위해 창조적인 놀이를 만들어 내게 되었던 것이다. 다른 지방에서는 방아타령 등 주로 노래가 전승되었지만 평안북도 구성지방에서는 발방아놀이가 주로 행해졌다. 놀이와 함께 한 해 농사를 무사하게 짓게 도와준 천지신명에게 감사의 표시로 떡과 음식을 장만해 올리는 제사를 지내는 것이 특징이다. 각 마을별로 떡과 음식이 마련되면 마을에서 제일 넓은 마당에 장작을 쌓고 불을 붙인다. 마당이 훤하게 밝아지면 마을사람들은 디딜방아 모형을 모닥불 주위에 갖다 놓는다. 놀이가 시작되기 전에 마을 풍물패는 흥을 돋우기 위해 풍물을 친다. 마을 일꾼들이 새옷으로 갈아입고 모닥불 주위에 모여 흥겨운 가락의 방아소리를 주고받는다. 흥이 오르면 마을사람들은 노래와 춤으로 마당을 빙빙 돈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노래와 춤을 즐긴다. 노래와 춤이 어느 정도 무르익으면 마당 중앙에 제사상이 차려진다. 한복을 입은 마을 연장자들을 주축으로 천지신명에게 감사의 제를 올린다. 제가 끝나면 떡과 음식을 나눠먹고 놀이는 끝난다.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