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신역마놀이(1982,인천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인천시
분야 민속놀이

종목소개

경신역마놀이는 인천의 主駅이 있었던 역로 중림도의 속역 경신역(남구 만수동 경신마을에 있었음)에서 유래된 것으로 역졸들에게 해마다 봄, 가을 두 번에 걸쳐 騎用馬 다루기와 馱馬에 공물 싣는 것을 훈련하기 위해 실시한 조련방식에서 파생한 놀이다. 이 놀이가 실제부터 있었던 것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경신역이 조선왕조 초기에 생긴 것으로 보아 조선왕조 중엽 초부터 있었다고 여겨진다. 이 놀이가 경신마을에 있었지만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이유는 놀이내용에 탐욕과 탐색을 일삼는 역승과 역사를 야유하고 빈정대는 대목이 있어 관의 눈을 피해 놀았기 때문에 제대로 전해 내려오지 못한 것이라 추측된다. 경신역마놀이는 역졸들이 놀았던 舞劇의 일종으로 춤이 주가 되고 몸짓과 재담이 따르는 형식으로 짜여져 있다. 한 마당으로 진행되는 경신역마놀이는 두 가지 내용을 담고 있는데, 기용마 타기와 타마 다루기 등 말 다루는 놀이와 역리와 역졸부인․역승의 삼각관계를 그려내고 있다.다른 민속무극은 여러 마당으로 짜여지고 가면을 쓰거나 의인물을 등장시켜 양반사회를 야유하거나 풍자하지만, 경신역마놀이는 한 마당으로 짜여지며, 하천민으로 천대받는 역졸과 그 가족이 역졸차림과 평소의 차림으로 등장해서 탐욕과 탐색에 찌든 양반계층의 현실을 익살과 웃음, 그리고 재담을 통해 야유하고 희롱하는 한편 천덕꾸러기 역졸들의 울분을 달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북부지방의 거친 춤사위나 남부지방의 폭넓은 춤사위에 비해 거칠지도 않고 폭도 과히 넓지 않은, 중부지방의 잔잔한 기질을 엿보게 하는 나긋한 춤가락이 이 놀이의 특색이다. 놀이가 시작되면 역졸과 그 가족들이 역승과 역리가 출타한 틈을 타서 동리 마당에 모여 놀이를 벌인다. 무슨 놀이를 할 것인가 서로 의논도 하고 여러 놀이를 선보이지만 기용마 타기와 타마 다루는 놀이가 좋을 것이라고 의견의 일치를 본다. 기용마 타기와 타마 다루기 놀이를 벌일 무렵 홍도할미와 딱정할비가 등장한다. 이들은 음흉한 수작으로 역졸의 아낙을 부추겨 역리에게 데려간다. 역리는 아낙을 금품으로 달래지만 역졸의 아낙이 쉽게 넘어가지 않는다. 역리와 역졸의 아낙이 실갱이를 벌이고 있을 때 역승이 등장한다. 역승이 역리를 위협하여 쫓아 보내고 역졸의 아내를 차지하려고 한다. 아낙은 잔꾀를 내어 역승의 말을 듣는 척 하다가 타마 마부와 짜고 말을 타고 달아나 버린다. 탐욕스런 역승과 역리를 몰아낸 천민들이 한바탕 신명나는 놀이판을 벌인다. 꽹과리․북․징․장고․피리 등의 악기와 기용마와 타마가 필요하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문서자료

파일명 요약
DOC_1982_제23회_전국_민속예술_경연대회_민속극_경신역마놀이_프로그램북.pdf 제23회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 민속극 경신역마놀이 프로그램북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