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공주장승제(1984,충청남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25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
참여지역 | 충청남도 |
분야 | 민속놀이 |
수상(단체상) | 국무총리상 |
종목소개
공주 장승제의 연원은 정확하지 않다. 공주군 탄천면 송학리(소라실) 촌로의 증언으로 미루어, 약 400여 년 전부터 이 지방의 토속신앙 내지 민속놀이로 면면히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장승제는 마을 수호신인 장승의 성적 결합으로 농산물의 중식이 이루어져 마을이 세화연풍한다는 믿음에서 전승되었다. 계곡을 사이에 두고 동․서로 나뉘어서 동쪽 매봉기슭마을(신랑마을)과 서쪽 삼태봉기슭마을(신부마을) 주민들은 음력 정월 7일 각각 농기를 앞세워 농악을 울리며 쌀을 추렴, 술을 빚는다. 정월 보름까지 마을 사람들은 일절 부정한 것을 금하고 매일 농악을 울리며 외부인의 출입을 금한다. 이는 곧 장승의 결합을 신성시하는 데에서 오는 금기인 것이다. 순수한 농민의 꾸밈없는 놀이를 통하여 선조들의 소박한 기원과 고도로 정제된 해학과 골계미를 엿볼 수 있다. 농악에 맞추어 가무음곡으로 밤새도록 즐기는 이 놀이를 통해, 옛 선조들의 생활상은 물론 마을의 안녕을 빌고 이웃과 협동하는 권농사상을 엿볼 수 있다. 먼저 동쪽 신랑마을과 서쪽 신부마을은 각각 ‘뚜-우-뚜’하는 나팔소리를 울린 후 농기․제관․나발․농악․주민의 손으로 농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기세배장소로 입장한다. 신농유업이라고 쓴 양쪽 마을의 농기가 접근했을 때, 동쪽 신랑마을에서 서편 신부마을을 마중하여 기세배 장소로 인도한다. 양편은 각기 자기 농기를 에워싸고 흥겹게 놀면서 제상을 차려 기세배를 준비한다. 신부마을 농기가 네 번 절하면 신랑마을 농기는 두 번 절한다. 이때 신랑마을은 신부 농기에 채단을 묶어준다. 기세배가 끝나면 서로 상대방을 청하며 옥신각신하며 농기를 밀고 당긴다. 이때 밀려간 쪽이 지는 것이며, 진 쪽에서 술을 내어 흥겹게 논다. 날이 어두워지면 주민들은 농기․오릿대․장승․장수횃불을 앞세우고 농악에 맞추어 동구다리에서 장승의 혼례식을 올린다. 신부장승이 네 번 절하면 신랑장승은 두 번 절하고 신부장승에게 재단을 보낸다. 혼례식이 끝나면 주민들은 색깔 있는 베짜치로 신랑장승과 신부장승을 꽁꽁 묶어 합궁시켰다가 떼어 놓는다. 이윽고 양편 장승은 서로 아쉬워하며 각기 동구로 돌아간다. 양쪽마을 주민들은 장승과 오릿대를 동구에 세워놓고, 그 앞에 제상을 차린 다음 축문을 읽으면 제례를 올린다. 마을로 돌아온 주민들은 횃불을 밝혀들고 질병과 화재, 천재를 쫓는 방포 세 발을 쏜다. 동편 신랑마을은 씨름을 하고 서편 신부마을에서는 널을 뛰어 각각 장원을 뽑아 이를 축하한다. 다시 양쪽 마을이 하나로 뭉쳐 장원을 앞세우고 밤이 다 가도록 흥겹게 놀면서 단결력을 고양시킨다.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