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답교놀이(1985,서울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6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서울시
분야 민속놀이
수상(단체상) 공로상

종목소개

송파답교놀이는 고려 때부터 정초에 자기 나이대로 다리(橋梁)를 밟으면 그 해에는 다리(脚)에 병이 나지 않고 모든 재앙을 물리칠뿐더러 복을 불러들인다는 신앙적인 풍속에서 나온 것이다. 답교놀이는 매년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3일간 야간에 놀았으며 이 날에 四大門을 닫지 않았던 기록으로 보아 이 놀이를 매우 소중히 여겼던 것을 알 수 있다. 이 놀이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재상, 귀인에서 일반서민 구별없이 동참했으며 이때에 퉁소와 북의 장단에 선소리꾼까지 참여하여 일대 장관을 이루었다고 한다. 답교놀이가 성황을 이루며 혼잡을 이루게 되자 양반층에서는 서민과 어울리기를 꺼려하여 하루 전날인 14일 저녁에 다리를 밟았는데 이것을 ‘양반다리밟기’라 하였고 부녀자들은 16일 저녁에 다리를 밟았다고 한다. 서울에서 답교놀이를 하던 다리는 광교, 수표교, 염천교를 중심으로 해서 마포, 아현, 노들(노량진), 살꽂이(전관교) 등의 크고 작은 다리였다. 원래 답교놀이는 액운을 물리치는 신앙적인 풍속에서 시작되었으나, 점차 그 성격이 변하여 바람드리(風納里), 몽촌, 송파, 돌마리(石村) 등 여러 곳에서 놀이패가 따로 조직되면서 연희성을 띄게 되었다. 이렇듯 일정한 격식을 갖춘 답교놀이 중 돌마리에서 행해지다 중단되었던 것을 당시 놀이에 직접 참여하였던 분들의 이야기를 통해 재연하게 된 것이 송파답교놀이이다.

내용

송파답교놀이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놀아진다.

(1) 다리밟기_ 길군악을 울리면 연희자들은 무동을 세우고 길놀이 대형으로 열을 지어 다리(橋梁) 있는 곳으로 가서 일년 동안 다리(脚)의 무병을 기원하는 다리(橋梁)밟기를 시작, 왕복한다. (2) 마당춤놀이_ 길군악에 맞춰 놀이마당으로 돌아와 길놀이 대형 그대로 마당을 한바퀴 돌고 기수와 악사, 선소리꾼이 가장자리에 서고, 연희자들은 굿거리장단․타령장단․자진모리장단에 맞춰 춤을 춘다. 무동은 원 안으로 들어가 원무를 춘다. (3) 선소리_ 마당춤이 절정에 이르면 선소리꾼들이 가운데로 나서고 나머지 연희자들은 가장자리로 둥글게 선다. 선소리꾼들이 앞산타령․뒷산타령․놀량 등을 부르면 소무무동․상좌․집시와 별감․곤나쟁이 양반과 노장․왜장녀 등 여러 가지 인물들이 춤을 춘다. (4) 뒷풀이_ 선소리가 끝나면 모두 마당으로 모이며 춤을 추며, 횃불․짚불․낡은 싸리비․날리던 연 등을 태우는데 이는 액풀이를 의미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송파다리밟기 (1989.08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문서자료

파일명 요약
DOC_1985_제26회_전국_민속예술_경연대회_송파답교놀이(1985.9.19~20).pdf 제26회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 송파답교놀이(1985.9.19~20)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