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귀애파기놀이(1985,강원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6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강원도
분야 민속놀이

종목소개

양양군은 서쪽의 오색령과 박달령, 서남쪽의 조침령과 구룡령, 남쪽의 오대산, 신선령, 막암치 등 높고 험준한 산으로부터 발원된 계곡이 있다. 이 계곡들은 경사가 급하고 길이가 짧아 물의 흐름이 빠른 까닭으로 가뭄을 많이 탄다. 또한 계곡 양편 산비탈은 협소한 농경지는 다락처럼 계단식으로 경작해야 하므로 가뭄에 대비한 치수가 큰 문제일 수 밖에 없었다. 그러한 환경에 대처하는 수리시설로 통나무의 속을 파서 수관을 만들어 수로를 개설했는데, 이 통나무 수관을 ‘귀애’라 부르고 귀애를 설치하는 작업을 ‘귀애놓기’라 하였다.. 이 귀애놓기는 계곡을 낀 산간마을의 농경생활에서 걸러서는 안될 가장 큰 연중행사가 되었다. 매년 한식을 전후해서 온 마을 사람들이 협동하여 산에서 원목을 베어내려 귀애를 파서 여러 개를 연결하여 물을 유입시켰는데, 귀애를 다 놓게 되면 치수를 기원하는 산신제를 지내고 잔치를 벌여 흥겹게 놀아야 가뭄이 없고 풍년이 든다고 전해져 온다. 이 귀애파기놀이는 고려 중엽부터 성행하던 민속놀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귀애파기놀이는 산간마을에서 농경의 수리 안전을 위한 공동시설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놀이로서, 대부분의 민속놀이가 농사일을 소재로 하고 있으나 이 귀애파기놀이는 치수하는 수로 공사를 소재로 하고 있으며 놀이과정에서 불려지는 일노래 ‘톱질소리’와 ‘운자군소리’ 그리고 ‘귀애파기소리’등의 토속적인 면이 돋보인다. 귀애에는 외귀애, 허궁귀애 등이 있는데, 귀애목․귀애골․수채골 등으로 불리우는 마을에 아직도 보존되고 있으며, 일부 깊은 산간마을에서는 소규모나마 아직 이용하고 있다.

내용

귀애기파기놀이는 다음의 여섯마당으로 구성된다.
(1) 흥돋우기: 마을 좌상을 선두로 농악을 치며 입장하여 귀애를 팔 통나무를 제자리에 놓는다. 일꾼들은 망태기에 도끼 등 작업도구를 넣어 등에 지고, 또 다른 일꾼들은 귀애발, 파래(용두레)를 지게에 지고 귀애터에 놓은 다음 모든 일꾼들이 한데 어울려 한바탕 흥을 돋운다. (2) 통나무 톱질하기: 한마당 놀이로 기운을 돋운 일꾼들은 귀애를 팔 나무 주위에 앉아 표면만 톱질을 한다. 이때 선수리꾼의 매김소리에 맞춰 톱질을 하며 일꾼들이 뒷소리를 받는다. 가락에 맞추어 농악도 친다. (3) 귀애파기: 일꾼들이 일제히 도끼질을 하며 귀애파기에 들아간다. 톱질로 잘라놓은 나무로 일꾼들은 선소리꾼의 선소리에 맞춰 뒷소리를 받으며 귀애속을 파낸다. 파낸 후에는 귀애통 속에 남아있는 도끼밥을 쓸어내고 짚뭉치에 불을 붙여 귀애통 속을 약간씩 태우며 다듬어 물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한다. (4) 좌판놀이: 귀애가 완성되면 상쇠의 가락에 맞추어 좌판놀이(앉은놀이)가 이어진다. 참술을 마시며 귀애의 완성을 자축하는데 술이 거나해져 흥이 오르면 앉아서 놀던 일꾼들이 일어나 어깨춤, 병신춤 등을 추며 한바탕 흥겹게 논다. (5) 귀애통 올려놓기: 한바탕 흥겨운 놀이마당이 끝나면 모든 일꾼들은 귀애발을 묶고 가마니에 모래를 넣어 받치며, 돌로 귀애발을 설치하여 귀애통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다. 파 놓은 귀애통을 귀애발 위에 올려놓고 귀애와 귀애의 접속부분을 잘 맞추며 귀애통 전체가 경사지게 하여 물이 잘 흐르도록 한다. 농악은 계속 흥을 돋운다. (6) 한마당놀이: 귀애통을 올려놓은 동네 사람들이 귀애를 놓느라고 막아놓았던 물막이를 터뜨려 물이 흐르게 하면 좌상의 ‘물이여, 풍년이여’하는 외침에 이어 모두 함성을 지른다. 이때 높은 곳의 논에 통파래나 코파래로 물을 퍼올리는 장면도 연출된다. 일이 끝나면 모두 함께 어울려 농악을 울리며 한바탕 흥겨운 마당놀이를 벌이고 산신제를 올린다. 실제 귀애를 파는 것처럼 통나무, 망태기, 톱, 도끼 등 작업도구와 농악기, 귀애발, 파래 등이 필요하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문서자료

파일명 요약
DOC_1985_제26회_전국_민속예술_경연대회-양양귀애파기놀이(보완)_프로그램북.pdf 제26회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양양귀애파기놀이(보완) 프로그램북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