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도소리경사거리(1987,평안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8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평안남도
분야 민요
수상(개인상) 개인상 (김광숙)

종목소개

평안남도 대표로 참가한 서도소리 경사거리팀의 김광숙은 개인상을 수상하였다. 서도소리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황해도와 평안도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민요, 잡가 등 관서지방의 노래를 말한다. 평안도 민요에는 수심가, 엮음수심가, 긴아리, 잦은아리, 안주애원성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에서도 수심가가 가장 유명하다. 황해도 민요에는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병신난봉가, 사설난봉가, 산염불, 자진염불, 몽금포타령이 있는데 이 중에서 난봉가와 산염불은 널리 알려진 곡이다. 서도잡가도 서도소리에 속하는데 공명가, 사설공명가, 제전, 추풍감별곡, 관산융마 등이 유명하다. 위 노래들의 유래에 관해서는 모든 지방의 민요나 잡가가 작자를 분명히 알 수 없듯이 언제 작곡, 작사되었고 누구의 입에서 먼저 불리워 졌는가는 알 길이 없다. 서도소리의 가락은 흔히 수심가토리라고 하여 대개 위에서부터 질러내며 위의 음은 흘려 내리고 가운데 음은 심하게 떨며 아래의 음은 곧게 뻗는 특이한 선율진행을 보여주고 있어 이들 소리를 느릿하게 부르면 구슬픈 느낌을 준다.

내용

(1) 민요(평안도소리)_ 수심가 : 처음부터 길게 내뻗는 수심가가 있고 이와 짝이 되는 엮음수심가가 있다. 서도소리 가운데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수심가는 마치 전라도소리가 육자배기소리로 대표되고 있는 것과 같다. 긴아리, 자진아리 : 수심가가 전문적인 창자들에 의해 다듬어져서 세련미를 갖춘, 도시화된 노래라고 한다면 긴아리와 자진아리는 토속적인 소박한 맛이 간직된 소리이다. 안주 애원성 : 평안도 안주지방에서 아낙네들이 베를 짜기 위해 실을 잦을 때 부르던 물레타령의 일종이다. 타령장단으로 속도가 빠르며 서도소리의 진행 선율이지만 높은 음들이 주로 많이 쓰인다. 부녀자들의 고달픈 생활에 대한 푸념과 흐느낌으로 되어 있다. (2) 잡가_ 공명가와 사설공명가 : 공명가는 제갈공명이 갈건야복으로 남병산에 올라 동남풍을 비는 광경을 묘사한 소리이다. 서도잡가의 대표적인 소리로서 긴 사설인데도 별로 지루한 감을 주지 않고 있다. 초한가 : 초한가는 공명가와 더불어 서도의 잡가로 널리 알려진 소리이다. 이 노래는 중국의 초와 한이 서로 싸워서 지고 이긴 것을 읊은 것이다. 사설조로 읊어 나가다가 끝부분을 수심가로 불러 여미고 있다. 제전 : 인생무상을 주제로 하여 생자필멸과 회자정리라고 하여 사람은 한 번 낳았다가 한 번 죽는 것이요. 만났던 사람은 이별하게 마련이건만 그래도 이 세상 사람들은 이 엄연한 사실 앞에서 눈물과 비탄으로 일관한다는 내용을 노래하고 있다. 관산융마 : 서도소릿조로 길게 내뻗는 이 소리는 대쪽을 올리는 듯 청초하고 투명하다. 신광일의 과시인 관산융마의 원 시제는 ‘등악양루 탄관산융마’이며 시의 내용은 당나라 시인 두보가 그의 만년에 표랑하다가 악주에 있는 악양루에 오른 일을 읊은 것이다. 추풍감별곡 : 일정한 장단에 의해 부르고 선율에 있어서도 변화가 없이 일정한 가락을 반복해서 불러 나간다. 내방가사의 성조로 불러 나간다고 하겠다.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무형문화재 서도소리 (1969.09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