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보리타작(1962,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
참여지역 | 경상북도 |
분야 | 민요 |
종목소개
경상북도의 민요로써 도리깨로 보리를 타작하면서 부른다. 도리깨로 타작하는 곡식이 주로 보리이기 때문에 ‘보리타작 소리’라 일컫지마는, 콩․팥 따위도 도리깨로 타작하여 장만하기 때문에 그냥 ‘타작노래’라 하기도 한다. 또한 도리깨를 쓰므로 ‘도리깨질노래’라 일컫기도 하며, 타작하는 일이 주로 마당에서 이루어지므로 ‘마당질노래’라고도 한다. ‘보리타작소리’는 ‘모내는 노래’․‘김매는 노래’․‘논매는 노래’․‘밭매는 노래’와 더불어 전국에 널리 분포된, 농사일에 따르는 주요한 노동요다. 보리타작은 여러 사람이 빠른 속도로 도리깨질을 힘들여 되풀이해야 하므로 일하는 사람들의 행동통일이 필요하며 그 일과 밀착된다. 따라서 ‘보리타작소리’는 그 사설과 가락 또한 모두 단조롭다. ‘보리타작소리’는 나란히 마주 서서 일하는 사람들 가운데 한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면 여러 사람의 후렴을 받는 선후창 형식으로 부른다. 경상북도 등지에서는 앞소리꾼을 ‘목도리깨꾼’이라 하고 뒷소리꾼을 ‘종도리깨꾼’이라 한다. 목도리깨꾼은 앞소리를 부르면서 종도리깨꾼에게 타작할 보리를 젖혀 주고 노래 사설로써 두드릴 곳을 지시하기도 하면서 일을 지휘한다. ‘보리타작소리’ 사설은 대체로 그 일의 실태를 노래하면서 일꾼들을 격려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억센 일을 치르면서 노래하는 사설이므로 가다가 해학적인 표현도 드러난다.
억만군사야 뚜드려 보자 어허 타작이야 천석으로 뚜드르까 어허 타작이야 만석으로 뚜드르까 어허 타작이야
‘보리타작소리’는 전국 어디서나 들을 수 있으나 경상북도 지역의 소리가 가장 유명하며 널리 알려져 있다. 도리깨질 한 번을 하는 동작이 3분박 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악도 3분박 둘에 메기고, 3분박 둘에 받는다. 이러한 모습은 노동의 동작과 음악의 리듬과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