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정보
정읍농악(1991,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 내 용 |
---|---|
참여대회 | 제32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
참여지역 | 전라북도 |
분야 | 농악 |
수상(단체상) | 공로상 |
종목소개
전라북도 대표로 참가한 정읍농악팀은 1991년 제32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의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정읍군은 오래전부터 단풍이 유명한 내장산과 동학혁명의 발상지인 황토현전적지, 만석보 등 유서 깊은 고장이며 호남평야의 중심지로 농경업이 발달되어 국악과 농악이 활발하게 육성되어 왔다. 1920년경부터 당시 보천교 교주 차경석이 정읍군 입암면 대흥리에서 터를 잡고 농악을 즐기며 생활하였는데 전국에서 이를 배우기 위해 수백 명의 기능인들이 모여들어 정읍농악의 기틀을 잡아왔다. 장고의 명수라고 손꼽는 김홍집씨를 이어 신기성, 이봉문, 이정범 등 작고한 명인들과 전사섭의 설장고 등 그 맥이 그치지 않고 있다. 농악은 풍농을 기원하고 각종 질병과 재앙으로부터 마을을 보호하려는 의례적 행사이다. 또한 천재지변에 대한 공포감을 제거하고 일상생활에서 유발되는 불안 심리를 극복해 보려는 공동체 의식 하에 신성한 삶을 추구해보려는 순순한 농심에서 정월대보름, 칠월칠석, 팔월한가위 등 마을 사람들이 한데 모여 술먹이를 하면서 행하여진 것이다. 대표적으로 질굿, 오방진굿, 호호굿, 인사굿 등으로 보는 이와 연출하는 이의 어깨를 절로 들썩이게 하는 정읍농악은 일찍이 풍요로운 생활 속에 욕심과 걱정이 없는 이 고장의 인심을 말해주듯이 리듬이 다채롭고 발놀림이 구성지며 다양한 가락과 의상 구성짐은 정읍농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듯이 우도농악의 본산지로 그 위치를 굳혀가고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정읍농악 (1996.03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