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농악(1972,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경상북도
분야 농악
수상(단체상) 문공부장관상

종목소개

유래

예부터 김천 일대는 유기의 명산지로 유명했다. 이 지방에서 생산한 꽹과리(쇠), 징 등이 전국에 공급되었는데 이런 기구를 생산해내는 고장답게 김천, 선산 등지에서 농악이 일찍부터 시작되었다. 경북 김천과 금릉지방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는 김천농악는 약 400여 년 전 광천별신굿이 시작되면서 전파되었다. 음력 정월보름날, 5월 단오날, 10월 추수감사제에 농민들이 천신에게 풍년을 기원하고 감사제를 드릴 때 제의 앞뒤에서 흥을 돋우는 역할을 농악이 하였다. 농악이 시작되면 온 동네 사람들이 모여 술과 음식을 나눠 먹고 흥겹게 놀이마당을 벌였다.

특색

(1) 김천농악은 약 400여 년 전 선산의 광천별신굿이 시작되면서부터라고 전해지고 있다. 400여 년이란 기간이 결코 짧은 시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김천농악은 고형에서 벗어나지 않고 원형 그대로 충실하게 유지되고 있다. (2) 광천별신굿의 전후에서 동네사람들의 흥을 돋우는 역할을 하였던 김천농악의 가락은 듣는 이로 하여금 어깨춤을 들썩이게 할 정도로 흥겹고 활기차다.

구성

(1) 병렬형 (2) 입장형 (3) 원무형 (4) 원형놀이 (5) 대전형 (6) 사방형 (7) 진풀이 (8) 풍년놀이

내용

(1) 병렬형_ 2줄로 늘어서서 농기를 앞세우고 뒤에 영기를 들고 행진하는 장단에 발을 맞추어 간다. (2) 입장형_ 1줄로 뛰면서 태극형으로 입장한다. (3) 원무형_ 1줄로 원을 이루고 관중에게 인사한다. (4) 원형놀이_ 원을 그리며 벅구가락이 발과 손과 목을 움직이면서 흥을 낸다. (5) 대전형_ 영기를 앞세우고 풍악을 울리면서 대진을 치고 서로서로 공격한다. (6) 사방형_ 동․서․남․북으로 풍악을 울리며 방을 친다. (7) 진풀이_ 1줄로 원을 치며 진을 친다. 진이 풀리지 않아 방패를 고한다. 술농수진을 3번 치고 굿거리장단에 발을 맞추어 춤을 추고 풀쳐 나간다. (8) 풍년놀이_ 개인놀이이다. 여기서는 상쇠놀이, 북놀이, 징놀이, 장고놀이, 소고놀이, 12발상모놀이, 농기수와 영기수, 오방기 놀이를 한다.

놀이기구

농기, 영기 2, 오방 5, 12발상모 1, 장고 4, 징 4, 소고 10, 북 8, 상쇠 8.

문화재 지정 현황

-국가무형문화재 김천금릉빗내농악 (2019.09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