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목발노래(1972,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전라북도
분야 민요
수상(단체상) 문공부장관상

종목소개

유래

익산은 전라북도 이리의 동북쪽에 있고, 호남평야의 동북단에 위치하고 있는 지방이다. 또 문화적으로는 이천년 전 마한의 고도였고, 백제의 주요 도읍이었던 비사벌의 유서 깊은 고장으로 백제의 유적과 문화의 전통을 많이 계승하여, 이 지방 특유의 토속 민요가 많이 남아 있다. 목발노래란 지게의 목발을 두드리며 부르는 노래라는 뜻이다. 지게는 한국의 농민들이 짐을 질 때 쓰는 기구이며, 두 개의 나무로 된 긴 다리가 있는데 이것을 목발이라고 부른다. 지게는 농민들에게 곡식단이나 풀, 나뭇단 등을 져 나를 때 반드시 필요한 운반 도구이다. 익산목발노래는 산으로 지게를 지고 나무하러 가는 나무꾼들이 작대기로 지게 목발을 두드리며 부르는 민요이다.

특색

무거운 짐을 질 때와 가벼운 짐을 질 때, 그리고 빈 지게로 나갈 때 노래의 한배는 자연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익산 목발노래는 산타령, 등짐노래, 둥당기타령, 지게 목발노래, 작대기타령 등 여러 가지 한배의 노래가 있다.

구성

(1) 산타령 (2) 등짐노래 (3) 지게목발노래 (4) 둥당기타령 (5) 작대기타령

내용

(1) 산타령_ 산타령은 초부들이 산에 나무하러 가서 나무를 하며, 또는 풀을 베며 부르는 소리로서 인생사의 회포를 느린 육자배기 가락으로 부른다. 따라서 장단은 느린 진양조 가락이다. 민속경연대회에서는 지게 작대기로 목발을 두드리며 장단을 맞추었고, 한 사람이 독창으로 길게 메기고, 여러 사람이 합창으로 짧게 ‘구나~에’하고 6박자 한 장단으로 받았다. 독창부분은 6박 짜리 6장단이나 되는 긴노래이다. 산타령은 원래 서울의 경기산타령, 평양의 서도산타령, 그리고 남도의 산타령이 있다. 경기와 서도의 산타령은 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자진산타령의 4곡으로 되어 있다. 한편 남도의 산타령은 육자배기, 흥타령, 개구리타령 등이 있다. 따라서 산타령이라 이름 붙여 놓고 육자배기를 부르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산타령이 끝나면 등짐노래로 넘어간다. (2) 등짐노래_ 이 노래는 느린 중모리장단에 맞는데, 지게 위에 나무를 잔뜩 해서 짊어지고 돌아오며 부르는 소리이다. 음악의 선법은 남도 특유의 시나위조와는 약간 다르다. 골격은 4도 위에 장2도를 쌓아 올린 계면조이고, 떠는목․평으로 내는 목도 구비하고 있지만 꺾는 목이 시나위조와는 다르게 꺾지 않고 그냥 장2도 위의 목으로 부른다. 특히 “바늘 같은 허리에다 태산 같은 짐을 지고 이 고개를 어이 어이 넘을까”하는 대목은 어떻게 들으면 유머러스한 감도 없지 않으나 역시 초부들의 애환을 잘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등짐노래가 끝나면 지게 목발노래로 넘어간다. (3) 지게목발노래_ 지게목발노래는 일을 마치고 마을로 돌아올 때 또는 나뭇짐을 지고 신바람이 날 때에 지게의 목발을 작대기로 두드리며 부르는 노래이다. 장단은 특이하게 엇모리장단에 맞추는데, 리듬감이 넘치는 가락으로 익살스럽게 주고받는다. 이 노래는 선법도 시나위조와는 다른 동요조이다. (4) 둥당기타령_ 지게목발노래가 끝나면 굿거리장단에 둥당기타령을 부른다. 이 노래는 시나위조로 메기고 받으며 흥겹게 부른다. (5) 작대기타령_ 마지막으로 부른 작대기타령은 서울지방의 창부타령을 부르는데 굿거리장단을 북이나 장구로 치는 것이 아니라 지게 작대기로 목발을 치며 부른다. 따라서 이 노래의 이름인 작대기타령도 여기에서 유래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놀이기구

지게, 지게작대기.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익산목발노래 (1973.06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