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원성(1972,함경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함경북도
분야 민요
수상(단체상) 장려상

종목소개

유래

애원성(愛怨聲)은 옛날부터 함경도 지방에서만 전해 내려오는 민요로서 주민들이 흰 옷을 입고 천신 지신에게 제사지내며 여러 가지 소원이 성취되도록 애원한 노래와 춤으로 이루어져 있다. 애원성의 정확한 유래는 알려진 것이 없지만 함경도 특유의 지형적 사회문화적 특성으로 미루어 짐작해 볼 수는 있다. 함경도는 지리적으로 농경지가 협소하며 농토가 비옥하지 못한 데다 여진족과의 오랜 싸움에 시달려 왔다. 게다가 사화당쟁의 제물로 유배당한 유랑민들과의 조선 말엽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학정에 시달려 국경을 넘어 러시아나 북간도 지방으로 떠난 실향민들이 많았다. 이러한 애달픈 실정 때문에 고향을 등진 사람들이 서로의 처지를 위로하며 상호 격려하고 자신의 처지를 자위하는 노래를 불러 망향의 설움을 달랬다. 기쁠 때나 슬플 때나 항상 부른 노래가 애원성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특히 유랑생활에 뼈저린 고통을 맛보는 여인네들에 의해 주로 불리워졌다.

특색

애원성은 노래가락 장단을 맞추기 위해 함경도 퉁소를 사용한다. 또한 큰 물통에 물을 가득 담아 바가지를 엎어 놓고 물박(바가지)을 두들기며 장단을 맞춘다. 원래는 혼자서 산길을 걸을 때나 혼자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래이다.

구성

(1) 전체 15마디로 되어 있다. (2) 각 마디마다 후렴구가 붙어 있다. (3) 장단은 자진타령을 사용한다. 리듬이 2:3의 싱코페이션이 자주 나와 마치 한 장단을 6박으로 나누어 부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4) 선법은 완전5도 위에 단3도를 쌓아 올린 것으로 서도소리의 선법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내용(가사)

백두산꼭대기에 칠성단 묻어 놓고 아들 딸 낳기만 발원이로구나 (후렴) 에에~에헤야 얼사마 좋구 좋다얼럴럴 거리고 상사디야 산아산아 에루화 동대산아 부모님 형제겐 이별산이로구나 (후렴) 풍년이 왔다고 부르지 말아라 이물을 건너면 월강죄란다네 (후렴) 무산령 넘어에 정든 안깐 두고 두만강 뗏목에 이내몸 실었네 (후렴) 부령 청진 간 낭군은 돈벌이 갔구요 북망산천 간 낭군은 여 이별이로구나 (후렴) 술취한 강산에 호걸이 춤추고 돈없는 천지에 영웅도 우노나 (후렴) 오늘밤은 그 얼매나 갔는지 북두칠성이 앵 돌아졌네 (후렴) 해삼위 항구가 그 얼마나 좋길래 신개척이 찾아서 반봇따리 쌌네 (후렴) 마우재 양지전에 정들 뻔 하다가 왜놈의 권연지에 몽땅 속았구나 (후렴) 금수강산이 아무리 좋아도 정든임 없으면 적막강산이라 (후렴) 가지를 마오 갈 생각마오 동대산 바람은 이별바람이오 (후렴) 북간도 찬바람 네 불지 말아라 우리네 독립군 손발이 다 언다 (후렴) 한반도 강산에 전선줄 느리더니 큰오래비 간곳이 뚱딴지로구나 (후렴) 삼천리 강산이 넓다고 하지만 우리네 살곳은 함경도 뿐이다 (후렴) 갈적에 엿어보니 개가 컹짖고 올적에 다시보니 새벽달기 우노나 (후렴)

문화재 지정 현황

-함경북도 무형문화재 애원성 (2005.06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문서자료

파일명 요약
DOC_1972_제13회_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_해룡의놀이_애원성_팜플렛.pdf 제1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해룡의놀이 애원성 팜플렛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