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감놀이(1973,서울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1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서울시
분야 민속놀이
수상(단체상) 문공부장관상
수상(개인상) 개인상 (이지산)

종목소개

서울지역에 고래로 연행되던 대감놀이는 우리나라의 원시종교적인 관념을 바탕으로 한 무당의 굿의 일부로서 놀아지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무당에 의해서 주재되는 신맞이 의식을 통틀어 굿이라고 한다. 서울의 대감놀이는 신맞이굿의 하나로 열두거리 중 그 다섯 번째 거리에 해당한다. 본시 대감이란 말은 신라시대 무관의 명칭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서울․중부지방의 대감놀이에도 무당이 무장을 하는 것을 보면 무관의 성격이 있는 것 같다. 이 굿은 우리나라 민간신앙으로서 신탁과 무악을 되풀이하면서 복덕과 이익을 나누어 받는 소박하면서도 절실한 것으로 우리들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것이 특색이다.

서울굿의 대감놀이는 주로 무당의 춤과 무악, 대감타령 등의 무가로 이루어진다. 굿의 진행은 원무당(元巫堂)이 맡고, 창부무(倡夫巫) 또는 후전무(後錢巫)가 있어서 기무와 예(藝)를 맡는다. 기무(技巫)는 장과 가무를, 악사나 전악(典樂)은 음악을 담당한다. 무당의 새신(賽神)굿으로 유명한 것은 평양의 잔상(盞床)굿과 제탁(帝鐸)굿, 서울의 대감놀이와 천궁(天宮)맞이가 있는데, 이는 다 같이 각자의 소원대로 상업을 하는 사람은 상운을, 가정에서는 무재다복을 빌며, 농가에서는 풍년을 기원하였는데 근래에는 민간에서 10월 상달에 고사를 겸하여 행하여진다.

무속에 등장하는 대감에는 산상대감, 부군대감, 군웅대감, 천신대감, 기주대감, 대전대감, 도당대감, 신주대감, 오방지신대감 등이 있는데 이 경우의 대감이란 신에 대한 일반적인 존칭이다. 대감신은 재복신이므로 욕심이 많아서 무엇이든지 많이 놓는다. 대감상에 떡을 시루 째 놓고 소머리 또는 우족을 통째로 놓는다. 처음에 쾌자와 전복을 입고 전립을 쓴 무당이 삼지창과 청룡도를 들고 무악과 함께 춤을 춘다. 이어 칼을 놓고 꽃부채만을 든 채 우족을 얹은 대감시루를 머리에 인다. 그리고 뒤뜰에 있는 터줏가리(터주신)에 술을 붓고 절을 하면서 뒷마당과 앞마당을 돌아, 다시 굿청 앞에 와서 시루를 인 채 우족을 들고 계속 춤을 춘다. 술을 뿜기도 하고 재물이 적다고 불만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고 나서 대감공수를 준다. 다시 ‘어허구차 욕심많은 내대감, 탐심많은 내대감, 이골 안 도장대감, 살륭부군대감 아니시리, 욕심이 많고 탐심이 많아서 대양푼에 갈비찜을 소양푼에 영계찜을 받으시던 내 대감인데, 이것이 다 무엇이냐, 얻어다 놓았느냐 훔쳐다 놓았느냐, 뿌연 막걸리 한 잔, 원산말뚝(북어) 하나 없구나…, 그렇지만 우리 대감이 재수사망을 섬겨주마’하는 사설에 이어 대감타령을 부른다. 무가를 부르며 부채를 가지고 휘저어서 안으로 불러들여 주부의 치마폭에 담아주는 시늉과, 우족으로 긁어모아서 주부에게 주는 시늉을 하여 재물을 밖에서 안으로 들여 넣어주는 행위를 한다. 대감신을 잘 모시려면 제물을 많이 바쳐야 하는데, 그것은 대감신은 제물을 많이 바칠 것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욕심많은 내 대감, 탐심많은 내 대감, 앞다리 선각, 뒷다리 후각, 양지머리 걸안주, 왼시루 독반을 받던 내 대감’이라는 무가에서 이 신의 성격이 잘 나타나고 있다.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