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차산농악(1979,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경상북도
분야 농악
수상(단체상) 문공부장관상

종목소개

경북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는 속칭 신라고촌이라 불려지는 역사적인 각성마을로 130여 가구가 순전히 농사에 의존해 온 전형적인 농촌이다. 경북과 경남의 도계에 접한 차산리는 예부터 기세배와 비슷한 기맞이굿이 성행하였는데 정초가 되면 풍각면 내의 여러 마을은 물론 고개 넘어 창녕군의 마을과 함께 화려한 천왕기싸움(서낭기싸움)을 벌여왔다. 천왕기싸움은 길이 8미터에 가까운 여러 가지 색깔의 천왕기를 앞세우고 마을의 농악대가 서로의 위세를 자랑하며 즐기는 놀이로서 차산농악은 이 천왕기싸움을 발판으로 발달해 왔다.

차산리 농악은 춤과 민요가 있는 것이 특징이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용적 특징_ 행진무용을 할 때 2석․3석․4석이라 하여 1열 원이 2열․3열․4열로 변하거나 2인조 회전무 등을 한다. 또한 전원이 원무할 때 오른발, 왼발 순으로 한발뛰기를 하면서 원을 따라 왼편으로 회전하며 돌아간다. 북춤의 춤사위는 북 복판을 두 번 치고 북채를 머리 위로 올려 옆걸음을 하면서 북을 치게 되는데 춤을 추다가 북을 오른발에 받치고 좌로 회전하는 것이 특이하다. 상모놀이는 ‘꽂이상모’라 하여 상모를 앞뒤로 젖히는 동작, 한쪽으로 돌리는 외상모, 좌우로 2회씩 돌리는 사사, 좌우로 1회씩 돌리는 팔사가 있다. 차산농악은 잡색 등의 활동은 두드러지지 않고 농사굿에서 농사짓는 형용을 하는 연극적 요소가 강하다. (2) 음악적 특색_ 비교적 빠른 가락을 잘 구사하는 대신 맺고 푸는 변주가 약하며 혼합박자가 드물고 3분박자 4박자가 대부분이다. 악기편성은 징과 북이 꽹과리 수보다 많다.

내용

이러한 특징을 가진 청도차산놀이의 판굿의 구성과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굿거리굿(춤굿)_ 천왕기와 농기를 세우고 4열 횡대로 선다. 상쇠가 조름쇠를 친 뒤 지휘에 따라 관중들에게 인사를 한다. 이어서 1열로 행진하면서 굿거리 장단에 맞춰 덧베기 춤을 춘다. 이때 군들은 원의 중심으로 들어가 무정작궁 가락을 치면 정자로 서서 잡이들을 지휘한다. (2) 부정굿(차츰걸음)_ 부정굿 가락을 세마치로 어르면서 상쇠가 쇠를 끊으면 1열 원진이 2열 원진으로 바뀐다. 혼자서는 잡귀를 몰아낼 수 없기 때문에 두 사람이 나란히 원진한다. (3) 연풍기굿(호호딱딱)_ 호호딱딱 가락을 치며 2열 원진이 다시 1열 원진으로 변하면서 훨훨 뛰며 돈다. 이는 잡귀를 몰아낸 기쁨을 표현한 것이다. (4) 자진머리굿(막조우기/잦은 몰이굿)_ 잦은몰이를 치면서 왼쪽 방향으로 계속 원진하면서 덧베기 장단을 당겨 부치면서 흥을 돋운다. (5) 물레굿(미엉찾기)_ 이 굿은 무명(목화) 농사를 지어 베를 짜는 물레를 상징하는 것이다. 잦은몰이 장단에 맞추어 상쇠가 쇠를 꺾으면 두 사람이 한 조로 마주보면서 왼편 방향으로 회무한다. 이어 상쇠가 쇠를 꺾을 때마다 3석․4석이 되어 회무한다. (6) 진굿(2석․3석․4석)_ 잦은몰이장단에 맞추어 상쇠가 쇠를 꺾을 때마다 2석․3석․4석 원진하고 이어 거꾸로 진행된다. (7) 농사굿(논서르기, 씨뿌리기)_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굿으로 상쇠의 지시에 따라 법고잡이들이 상모를 돌리면서 농사짓는 시늉(논서르기, 씨뿌리기)를 한다. (8) 모내기굿(줄서기)_ 몸을 앞으로 굽히고 상모를 앞뒤로 제끼면서 모심기 동작으로 전진․후퇴한다. (9) 짐매기굿(논매기)_ 논매기 시늉을 하는 굿이다. (10) 타작굿(발들기)_ 제자리에서 오른발을 구르며 벼를 타작하는 시늉을 한다. (11) 조름굿(판굿)_ 일명 판굿으로 왼편으로 원무하며 빠르고 신나게 쇠를 친다. (12) 오방굿(뚤뚤말기)_ 천왕기, 농기, 쇄납, 나팔 등을 원의 중심에 두고 조름쇠를 치며 나선형으로 멍석말이를 한 다음 푸는 진법을 동서남북과 중앙 5방향으로 행한다.

문화재 지정 현황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청도차산농악 (1980.12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