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산울어리(1979,경기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2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여지역 경기도
분야 민요
수상(단체상) 장려상

종목소개

울어리는 고려시대부터 전승되어 왔다고 하나 문헌상의 기록이 없다. 다만 고려시대 마전군이었던 현재의 연천군 마전면․중면(미수복지구)․신세면 일부 지역세서 연희되어 왔고, 영좌․부사 등의 말을 쓴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민들의 증언에 따르며 8․15 광복 전까지 연천군 중면 일대에서 세습적으로 전승되어 오다가 남북분단과 전쟁 등의 역사적 격변기를 맞아 중단되었다고 한다. 해마다 추수를 앞두고 산마을 사람들은 산에 올라가 땔나무를 베고 석양이 들 무렵 잡목으로 가마를 만들어 연장자(영좌)를 태우고 마을로 돌아온다. 이때 영좌는 양반(부사) 행세를 한다. 마을에서 부농을 골라 그 집 마당에서 풍년을 구가하며 농악과 농요소리에 맞춰 한바탕 마당놀이를 벌인 다음 주인이 마련한 음식을 먹고 노는 민속놀이로 아미산울어리는 마을 주민의 화평단합을 다지며 풍년에 감사하는 농민들의 놀이이다. 농경이 주요한 생활수단이었던 우리나라 전역에는 많은 농요가 보존되어 왔으나, 겨우살이를 대비한 연료채취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는 흔하지 않다. 이러한 희귀성이 아미산울어리의 특징이다.

구성

아미산울어리 소리의 구성은 음악적인 측면과 놀이적인 측면으로 나누어서 정리할 수 있다.

1) 음악적 구성_ 울어리는 3개의 노래로 이뤄지는데 그 음계구성은 다음과 같다. ① 울어리(나무 벨 때 부르는 노래) : 앞소리는 4도․2도․2도의 4개 음으로 되어 있으나 약간의 유동성이 있다. 뒷소리는 4도․2도의 3개 음으로 되어 있다. ② 둥게타령(남여와 영좌의 춤에 맞춰 부르는 노래) : 새타령의 음진행 배열과 비슷하나 리듬만이 다르다. ③ 방아타령(모두 함께 부르는 노래) : 울어리와 같은 구성음으로 되어 있으나 종지음이 약간 다르다.

2) 놀이구성 ① 풋나무베기 ② 남여행차 ③ 농기싸움 ④ 마당놀이

이른 아침 농악소리에 맞추어 마을 일꾼들은 감발을 하고 낫과 숫돌 등의 연장을 들고 산에 오른다. 일꾼들이 모이면 상겨리, 중겨리, 하겨리 등의 두세 패로 편을 갈라 나무 베는 일을 시작하는데 이때 상․중․하계리에서 번갈아 소리를 메기고 받으며 일을 한다. 일이 끝나면 몇 사람은 잡목과 칡을 베어 남여(가마)를 만들고 일꾼 중에서 연장자를 태워 남여부사라 칭하여 양반행세를 하면서 마을로 가는 길놀이를 벌이는데 맨 앞에 길라잡이가 인도하고 한 사람이 소리를 메기면서 간다.
메김: 에라 이놈 물러가라 칠라가라 남여부사 행차시다 받음: 에헤라 끼루끼루 마을에 내려온 일행은 부농가를 골라서 그 집에 들어가 음식을 마련하게 하고 남여부사는 일행에게 실컷 놀 것을 명한다.
농악대에는 반드시 농기가 있게 마련이며 이 농기는 마을의 명예를 대표하므로 절대적 권위를 갖는다. 또한 농기에는 급이 있어 하급농기는 상급농기를 보면 절을 해야 하는데 이를 무시하면 싸움이 벌어진다. 이것이 농기싸움인데 울어리놀이에서도 벌어진다. 그리고 이 싸움에서 진 패거리의 부사는 남여에서 내려 상대편 부사에게 큰절을 한다. 그러면 승자의 부사는 아량을 베풀어 남여에 오르기를 권하고, 남여에 오른 두 부사는 덩실덩실 춤을 추면 승자의 산주인 집으로 행진을 계속한다. 산주인 집에 이른 일행은 마당을 돌면서 일년 열두달을 엮어 ‘둥게타령’을 메기고 받으면서 마당놀이를 한다. 농악과 소리에 맞추어 한바탕 놀이가 끝나면 주인집에서 마련한 음식을 먹고 일동이 술상을 장단 맞춰 치며 잡가로 노래한다. 이때 열두달의 메김 대사는 다음과 같다. 메김: 너도 나도 서로서로 땀 흘리며 짓는 농사 메김: 올가을 풍년정에 노적가리 쳐다보고 메김: 콩섬묶어 장에널고 벼를찧어 독에붓네 메김: 사랑방에 지적메고 안방에서 베를 짜네 아미산울어리 민요와 놀이를 위해서는 농악대의 북․장고․꽹과리 등의 악기, 농기와 함께 잡목과 칡으로 만든 가마 남녀가 필요하다.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