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기접놀이(2005,전라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46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2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전라북도
분야 민속놀이
수상(단체상) 문화체육부장관상(금상)

종목소개

유래

전북 전주시 삼천동 일대에서 전승하고 있는 백중놀이를 바탕으로 종목화한 것이다. 마을단위의 공동체를 이루며 농사를 짓고 살았던 전통사회에서는 마을을 상징하는 신기(神旗)인 용기를 가지고 있었다. 공동체 구성원이 움직일 때면 꼭 용기가 등장하였으며, 호남지역의 마을에서도 일반적으로 이 용기를 하나씩 간직하고 있었다. 한편 옛 농경사회에서는 풍요로운 과일과 채소가 생산되는 때이자 마지막 논매기를 하는 시기인 음력 칠월 보름을 백중일로 정해 백 가지 음식으로 대동굿판을 벌였는데, 전주 일대에서는 이때에 기접놀이 경합을 펼쳤던 것이다. 기접놀이는 전주 인근은 물론 호남지역에서 백중날이면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민속놀이였는데 대부분 전승이 끊긴 상태이다. 그러나 전주 삼천동 인근에서는 중단되었던 기접놀이를 10여 년 전부터 발굴․재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색

익산기세배놀이가 정월달에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전주기접놀이는 백중날 술멕이굿과 함께 이루어지는 놀이라 할 수 있다. 전주기접놀이는 함띠, 용산, 정동, 비아의 4개 마을이 삼천변에 모여 백중날 하루 종일 벌인다.

구성 및 내용

(1) 농기고사 (2) 만두레 (3) 두레회의 (4) 장원례뽑기 (5) 전령띄우기 (6) 기인사 (7) 용기이어달리기 (8) 용기놀이_ 기펼치기, 기높이들기, 내려깔기, 파도타기, 기쓸기, 고네받기, 이마놀이, 어깨놀이, 기나발, 기춤 등으로 이루어졌는데 뛰어난 기량과 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백중날 멋들어지게 용기놀이를 펼치는 젊은 청년은 모든 사람들의 우상으로 추앙받는다고 한다. (9) 용기싸움 (10) 합굿

문화재 지정 현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전주기접놀이 (2018.03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