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악두레논매기(2007,충청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48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4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충청남도
분야 민요
수상(단체상) 장려상

종목소개

유래

충남 아산시 송악면에서 전승하고 있는 두레놀이를 바탕으로 연출한 작품이다. 송악두레논매기는 우리 선조들이 모내기를 한 후에 애벌매기, 이듬매기, 만물매기 중 마지막 세 번째인 만물 논매기를 할 때,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놓고 풍요를 기원하는 농신제를 지내면서 한바탕 풍물장단에 맞추어 그동안의 수고로움을 위로하며 술과 음식을 나누는 가운데 펼쳐지는 농민들의 어울림 마당이다. 송악의 경우 경작지 대부분이 논이므로, 이러한 두레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특색

송악두레논매기는 세련되지 않은 보릿대춤과 타 지역에서 볼 수 없는 굵은 굿거리장단이 결합된 독특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또 복장에 있어서도 아산송악 특유의 뙤풀로 만든 도랭이와 우모(전수자 조영호:아산시 송악면 동화리)가 현재까지도 꾸준히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구성 및 내용

(1) 첫째마당_ 농신제와 정박으로 이루어진 덩더궁이장단의 쓰레질로 두레 시작을 알린다. (2) 둘재마당_ 농사과정으로 투박하고 서민적인 모내기소리와 참시간이다. (3) 셋째마당_ 두레논매기과정으로 지역 특성상 호미 없이 맨손으로 행하는 만물논매기가 펼쳐진다. 장구 모양인 장구뱀이는 갈매기가 나는 모양으로 일하며, 논매기소리는 굿거리장단으로 특히 북장단에 맞춘다. (4) 넷째마당_ 신명풍물마당으로서 지게가마놀이 등 보릿대춤으로 노동의 신명을 최고조로 높이며, 아산 특유의 원초적인 우모춤으로 놀이를 마무리한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의 민속예술 50년사』
  • 발행연도 : 2009.12.31
  • 발행 : 제5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