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양풍물(2010,경상북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7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경상북도
분야 농악
참여단체 청도덕양풍물단
수상(단체상) 은상 (충청남도지사상) / 입장상

종목소개

청도 덕양풍물은 풍각면 일대의 정월대보름 기싸움놀이에서 유래했다. 서낭기를 앞세워 기싸움에서 이기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던 전통사회의 믿음이 표현된 것으로, 마을의 대동제와 놀이적 성격이 확인된다. 경북 청도군 풍각면 일대에는 정초에 마을마다 천왕기를 앞세우고 기싸움을 하는 천왕기싸움놀이가 성행했다. 천왕기싸움놀이가 벌어지면 풍물패가 마을의 위세를 뽐내면서 흥을 돋운다. 그리고 풍물판굿을 펼치면 주민들이 한데 어울려 함께 즐겼다. 한편 정월대보름 전에 벌어지는 당제와 지신밟기는 한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염원하는 성격의 대동놀이였고, 이것이 점차 청도 덕양풍물로 발전했다. 덕양풍물은 굿거리, 부정굿, 연풍기굿, 자진모리굿, 물레굿, 진굿, 농사굿, 김매기굿, 타작굿, 조름쇠, 오방굿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쇠와 상모잽이들의 농사짓는 모양을 모방한 농사풀이 형태의 진풀이가 그 특징을 이룬다. 청도 덕양풍물은 12가락 36마치의 기본구성을 가진다. 가락은 3박과 2박의 혼합박인 질메구, 조름쇠, 덥빼기, 무정작궁, 판단타굿가락 등이다. 각각의 거리는 쇠가락에 따라 점차 여러 진법으로 전개되며, 빠르고 씩씩한 쇠가락은 주로 조름쇠, 겹가락, 덥빼기가락을 구사한다. 북가락은 외북의 어깨짓을 바탕으로 한 엇북가락을 구사한다. 농사풀이로 진행되는 농사굿, 김매기굿, 타작굿 등은 춤매구에 맞춰 몸짓하는 덥배끼가락의 춤과 ‘방애소리’, ‘모찌기소리’, ‘모심기소리’ 등 농요로 구성된다. 여기에 천왕받기가 삽입되는 특징을 드러낸다. 농사풀이에서 상모잽이들은 외상모, 사사치기, 찍음상을 바탕으로 농사짓는 모습을 본뜬 모양을 보여주는데, 상쇠 역시 종이로 만든 부풀이로 찍음상, 사사치기, 꼭지치기 등을 구사하는 특징이 있다. 청도 덕양풍물은 인근 지역 농악인 차산농악과 긴밀한 연관이 있다. 경상도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가락인 덧배기(덥빼기)가 확인되며, 특히 군사농악적 성격이 잘 드러나는 것 또한 유의미하다. 여기에 농사풀이의 형식이 포함되어 있어 다면적인 농악의 양상이 확인된다고 할 수 있다.

문화재 지정 현황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