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재애밟기놀이(2010,울산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7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울산시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울산재애밟기놀이
수상(단체상) 아리랑상 (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장상)
수상(개인상) 연기상 (김난자)

종목소개

‘재애’는 ‘기와’의 울산 사투리다. 재애밟기는 사람이 수키와처럼 줄을 지어 엎드리면 그 위를 지나가는 모양을 따 붙인 이름으로, 부인들이 비가 새는 기와지붕을 수리하는 남정네들을 보면서 삼월삼짇날이나 정월대보름에 이를 흉내 내며 놀았던 놀이에서 비롯했다. 여자들이 줄지어 늘어서 앞 사람 허리를 잡고 등을 굽혀 엎드려 길을 만들면 그 위를 밟고 가며 노래를 부른다. 울주군 온산읍 일대에서는 1950년대까지 이 놀이가 성행했다.

밟는 사람에 대한 의미 부여도 여러 가지다. 전라도의 지와밟기에서는 놀이꾼 중 한 사람이 올라가는데, 큰 의미는 없다. 반면 남원의 지네밟기에서는 마을 아이들이 밟게 하는데, 지네밟기 자체가 밟는 아이의 무병장수와 출세를 의미한다. 경상북도 군위에서는 올라간 놀이꾼을 ‘기와장’이라고 부른다. 한편 놋다리밟기에서 소녀들이 다리를 밟는데, 이들을 ‘공주’라고 부른다. 밟기를 하면 강강술래의 기와밟기와 놋다리밟기에서는 양쪽에서 손을 잡아주지만, 군위의 지애밟기와 남원의 지네밟기에서는 막대기를 이용한다.

기와는 지붕을 잇는 것으로, 사람의 굽은 허리처럼 굽어 있다. 기와지붕에 올라갈 때는 기와가 깨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재애밟기는 바로 그러한 것을 고려해 붙인 이름이라 할 수 있다. 꽃게를 등 뒤로 보낸 사람은 다시 열 맨 앞으로 가서 허리를 구부려 계속 행렬을 이어간다. 앞줄의 여자들이 선소리를 메기면 뒤에 따른 이들이 받는소리를 하는 등 흥겨운 분위기가 정월대보름 저녁을 장식한다.

‘밟기’가 끝나고 싸움이 시작되면 대열의 선두를 힘이 센 건장한 여인들로 대치하고, 그중 네 사람이 팔을 잡아 기둥을 만들어 그 위에 억센 여인을 태운다. 놀이를 할 때는 체중이 가볍고 연약한 여자를 꽃게로 위장시켰지만, 실제 싸움에서는 건장한 여인을 내세운다.

울산재애밟기놀이는 울주문화원 회원 89명이 대거 참가해 어스름 저녁 마을 아녀자들이 같이 놀아줄 동무를 불러내는 ‘동무 모으기’로 시작해, ‘재애 밟자’ ‘달 넘자’ ‘씨앗받기’에 이어 명주를 잣는 행위를 의태화한 ‘실 감자’ 등 5개 과장으로 펼쳐졌다. 재애밟기놀이는 예로부터 울산에서 전해져 오는 여성의 집단놀이로, 평소에는 네댓 명이 옹기종기 모여 놀지만, 정월대보름이나 팔월 한가위에는 소녀부터 젊은 부녀자까지 함께 나와 집단으로 원무를 이뤘던 놀이다.

사람들이 엎드린 모양이 기왓장을 엎어 놓은 것과 같다고 해 ‘기와’라 하기도 하고, 지네를 닮았다고 해 ‘지네’라 부르기도 하며, 물을 건너는 다리로 사용했다는 공민왕 전설에 따라 ‘다리’로 부르기도 한다. 또 농경사회에서 물을 관장하는 용신[龍神], 곧 용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 지와밟기 놀이에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