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양양 상복골농요(2010현,강원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7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강원도
분야 민요
참여단체 양양상복골농요보존회
수상(단체상) 최우수상 (국무총리상)

종목소개

상복골은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에서 두 번째 큰 마을로, 상복골 2구는 행정구역 개편으로 지금의 속초시 설악동으로 이관되었다. 강현면 관내 상복골, 중복골, 하복골을 합해 통칭 ‘복골’이라 한다. 상복골은 이른 시기부터 농악이 있었는데, 고졸한 맛을 내는 것으로 유명해 마을 사람들의 자부심이 대단하다. 현재도 농악대가 있어 그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마을에서는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두레와 품앗이를 하는데, 이곳에서는 두레를 달리 ‘질먹는다’고 하거나 ‘줄레’라고도 부른다. 양양 ‘상복골농요’는 소하천 주변의 좁은 들이나 골짜기의 다락논에서 불린 농요로, 산간지역 농요에 해당하며, 평야 지역 농요와는 다른 점이 많다. 소리의 가락은 정적이나, 사설에는 지역 명소나 명물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지역민의 깊은 정서가 빚어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농사를 독려하는 내용과 함께 현장에서 우러나는 해학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다. 이 농요는 논에서 일하며 부르기 때문에 일의 과정과 동작에 알맞다. 다락논에서 일하기 적합하게 짜여 있어, 현지의 지리적 면모를 반영한 것을 알 수 있으며, 곧 인문지리로의 발전을 그대로 구현한 것이 보인다. 다락논이 많은 산간지역의 특성을 살린 양양상복골농요는 제51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현지민속심사를 통해 국무총리상인 최우수상을 받았다.

내용

연행 과정에서 이뤄진 소리와 농사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1. 성군소리 농사철이 다가오면 써레로 논밭을 간다. 이는 쟁기로 갈아엎은 논에 물을 대고 모를 심기 좋게 만드는 전문적인 논갈이 과정의 연속이지만, 결국 써레로 가는 것이므로 ‘논을 삶는다’라고 한다. 써레에는 ‘한스레’와 ‘쪽스레’가 있다. 한스레는 소 두 마리로, 쪽스레는 소 한 마리로 논밭을 가는 것을 이른다. 소에 댄 스레가 지나가면서 바닥을 골고루 고를 수 있도록 쇠스랑을 든 이가 뒤따르면서 바닥을 골라 준다. 이때 우측에 있는 소를 ‘마라소’, 안에 있는 소를 ‘젖소’로 부르기도 하는데, 한스레로 갈 때는 마라소가 더 힘이 좋고 요령도 있어야 해서, 작업 과정에서 자연스레 소를 배치하는 요령이 생긴다. 이 마을에서는 소를 몰고 쓰레질을 하는 이를 ‘성군’이라고 하며, 그 소리를 ‘성군소리’라 한다. 우장을 메고 농악에 맞춰 춤을 추면서 입장해 한바탕 흥을 돋운다. 성군이 써레질소리를 하면 다른 일꾼들은 모찌기 준비를 한다. 소를 의인화해 대화하는 형식의 사설과 가락으로, 선소리·뒷소리 없이 성군만 소리한다.

어디야 이 이 큰 암소야 어정거리지 말고야 제곳으로만 차고 들어라 이러이러 이 어 도 어디야 이 이 잔돌은 쓸어 냄기고 붉은 돌은 건너 뛰자 이러이러 이어도 어허디야 이 서산에 해는야 아 올라 섰는데 한눈 팔지 말고 가자 이러이러 이 어허 도 어디야 이 쇠머리에 무춘 홀랑 깼구나 얼릉얼릉 하고 말자 이러이러 이 와 와

  1. 모찌기소리 성군이 논밭을 가는 동안, 모내기꾼은 모를 쪄 논에 옮겨 심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모찌기소리를 하는데, 대부분 강원도 북부 지역의 소리로 타령조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나머지 일꾼들은 “나간다, 잘한다” 등의 추임새로 흥을 돋우며 모를 찐다.

걸찐 걸찐 하더니 여기도 또 한 춤 - 그 소리 멀리 가기 전에 여기도 또 한 춤 물소리 찰랑찰랑 하더니 여기도 또 한 춤 - 나간다 서산에 해 떨어지기 전에 여기도 또 한 춤 - 너도 한 춤 나도 한 춤 여기도 또 한 춤 엉덩이 수풍 할라 여기도 또 한 춤 - 바짝바짝 당겨를 주게 여기도 또 한 춤 배 참이 늦어간다 여기도 또 한 춤 - 나간다

  1. 모심기소리 모찌기가 끝나면 모를 심는다. 농악을 곁들이면서 옮겨놓은 모를 가지고 모를 심는다. 이때 ‘아리랑’, ‘어랑타령’, ‘아라리’ 등으로 지칭되는 소리를 주로 부른다. 모를 다 찐 후, 양손에 모춤을 들고 춤을 추며 논 앞쪽으로 나가 횡대로 모심는 형태로 선다. 모심기 시작과 함께 소리를 주고받으며 모심는소리를 한다. 다른 일꾼들은 “잘한다 어히어히” 등의 추임새로 흥을 돋우며 모를 심는다. 모쫑들은 모를 던지면서 모쫑을 한다. 모를 다 심으면 쉼터로 나온다.

하늘 등천에 뜬 구름은 비나 졸락 오더지 운무운무 나선 여자 누굴 볼라고 나섰너 낙산 선질꾼 실안개 돌고 우리집 문전에 정든님이 오네 심어주게 심어주게 또 심어주게 바다같은 요 논배미 또 심어주게 좋다가 죽어도 원통한데 밤낮을 모르고서 일만야 하느냐 나두여 만날적엔 나같이 났구나 무스네 팔자로서 고공살이만 하리 산이야 높어야 골도 깊지 조꼬만 여자속이 뭐그리나 깊느냐 올망태 남망태는 뜰가방 삼아 씨구요 고무자리 낫자리 만년필 삼아 쓰니 소주야 안먹는다구 맹세를 했드니 안주보고 주모보니 또 한잔야 먹겠니

  1. 술참 좌판놀이 쉼터로 나온 일꾼들은 앉아서 참을 먹으며, 두레패 농악이 흥을 돋우면 모두 흥겨워 어깨춤을 춘다. 이때 끝머슴은 상머슴에게 잔을 올리고 큰절을 한다. 이렇게 좌판놀이를 하다 흥에 겨워 모두 일어나 한바탕 논다. 중간에 참과 같은 것을 먹으면서 함께 놀이하고, 서로의 위계를 다지는 것이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노동의 고단함을 달래고, 일정하게 놀이를 하면서 쉼을 가지는 것이다.

  2. 김매기소리(미나리소리) 모심기가 끝나면 김을 맨다. 이 과정에서 소리를 하는데, 오전에는 상당히 느린 가락으로 소리를 하고, 오후에는 조금 빠른 장단과 가락으로 소리를 한다. 이때 느리게 하는 소리를 ‘미나리소리’, 빠르게 하는 소리를 ‘동강소리’라 한다. 미나리소리는 상복골농요 중 가장 정적이고 가락이 구성지다. 이 소리는 주로 오전에 부르는 김매기소리로, 사설이 4음절 4음보의 소리로 되어있어 시조와 그 형태와 형식이 같다. 처음에는 일렬 형태로 김을 매다 마지막 논빼미에서 김을 맬 때 양쪽 끝에서 “우겨라” 하면, 논매는 사람의 행렬을 오므리며 원형으로 모여 소리한다.

심심하고 얌얌하아언데 심고 에헤이 홀로 아어 심어주게 매여주게 매여나주게 손을 세워 매여나 주게 이 히

산들산들 부는 아 아어 모심저싹 이곳 아어지냐 모심 싹 이뜰은 모주게 썬데 저싹 옛날 아어지냐 이 히

동강소리는 농악에 맞춰 다시 김매기 형태로 서서 한다. 동강소리는 오후에 부르는 김매기소리로, 미나리소리보다 빠르고 가락이 경쾌한 편이라 김을 빨리 맬 수 있다. 김을 맬 때는 끝부분을 우겨서 매므로, 원형 대형의 행렬로 진행한다.

동해동창 솟는해는 반공중에 떠서있네 연줄가네 연줄가네 저 산너머 연줄가네 그게 어찌 연줄이냐 우리부모 명줄이지 해가져서 그늘졌나 산이 높아서 그늘졌지 질꾼질삼 잘하는여자 울렁바리 실어주소 질꾼질삼 못하는여자 매여나아어 떼어주오 이슬아침 낙랑동무 헤어질곳 몇해일새 우겨라 우겨

이때 “우겨라 우겨” 하는 것은 논김을 다 매자는 뜻으로, 여름철 한창 뙤약볕 아래 일을 하면서 마지막 고비를 넘기고자 하는 추임새다. 김매기를 끝내면 벼를 벤다. 한 춤, 두 춤, 세 춤, 네 춤씩 묶으면서 한 단을 만들어 스무 단씩 세우는 걸 ‘한 베’라고 한다. 한 무지가 열 단이니, 두 무지를 모아 붙여 한쪽에 열 단, 다른 쪽에 열 단씩 세운다. 오십 무지를 한 동이라고 하는데, 보통 오십 무지면 화학비료를 쓰기 전에 쌀 다섯 가마 정도를 생산했다. 이때 벼를 벨 때 하는 소리는 대체로 모찌는소리와 비슷한데, 다만 단위를 ‘춤’에서 ‘단’으로 바꿔 부르는 것이다. 벼를 다 베어 말린 후에는 도리깨질을 한다. 이렇게 마뎅이를 끝내면 방아를 찧는다.

  1. 한바탕놀기 일이 끝나면 심신의 피로를 풀기 위해 즐거운 마음으로 한바탕 놀며 흥을 돋우는데, 상머슴을 지게 가마에 태워 질꾸내기(질꼬내기, 길군악) 가락에 춤을 추며 귀가한다. 이렇게 하면서 상복골농요를 완료한다. 아래는 달리 전승되는 모찌는소리와 모심는소리, 김매는소리의 농미나리와 동강소리의 사설이다.

  2. 모찌기소리 얼른 얼른 하더니 여기도 한춤(나간다) 걸찐 걸찐 하더니 여기도 또 한춤 그소리 멀리가기 전에 여기도 또 한춤 너한춤 나한춤 여기도 한춤 물소리 찰랑찰랑 여기도 또 한춤 담배참이 늦어진다 여기도 또 한춤 궁뎅이 수풍할라 여기도 또 한춤 얼른얼른 잡아 댕겼구나 여기도 또 한춤 눈치보지말고 댕겨라 여기도 또 한춤 이모판에 저모판에 여기도 또 한춤 잘도찐다 잘도찐다 여기도 또 한춤

  3. 모심는소리 하늘중천에 뜬구름은 비나 줄려고 떳지 골목골목 나선 색시는 누구를 볼라고 나섰나 설악산 산지골에 실안개 돌고 우리집 문전에 정든님 오네 심어주게 심어주게 또 심어주게 바다같은 요논빼기 또 심어주게 아들딸 못낳는다고 산제불공 말고 야밤중에 오는 손님 문뺏겨 주세 산이야 높아야 골이나 깊지 조그만 여자속이 얼마나 깊나 놀다가 죽어도 원통한데 밤낮을 모르고 모만 심네 나도야 남클적에 다 같이 컸건만 무슨기 팔자로 머슴살이만 하나

  4. 김매기소리 - 농민아리(미나리소리) 심심하고 양양한데 질꾸레기 불러보세 매여주게 매여주게 손을세워 매여주게 산들산들 부는바람 모시적삼 입고지고 모시적삼 입던몸에 삼베적삼 웬말이냐 질꾸질삼 잘한여자 울릉발이 실어주고 상복개울 맑은물에 배차씻는 저처녀야 겉에겉잎 제쳐놓고 속에속잎 나을주오 오늘해는 걷갔는지 골골마다 그늘졌네

  5. 동강소리 연줄강네 연줄가네 저산넘어 연줄가네 그기어디 연줄이냐 우리부모 명줄일세 그늘졌네 그늘졌네 골골마다 그늘졌네 해가져서 그늘졌네 산이높아 그늘졌지 동해동창 솟는해는 반공중에 떠서있네 반공중에 떳는해는 서산마루 넘어가네 이슬아침 만남동무 해질걸음 이별일세 낙산사 의상대 끝에 고기낚는 저 선비야 거기고기 낚지말고 이내몸을 낚아주오

문화재 지정 현황

-강원도 무형문화재 양양 상복골농요 (2013.04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