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두계놀이(2019,평안남도)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6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평안남도
분야 민속놀이
참여단체 향두계놀이보존회
수상(단체상)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종목소개

한반도 북부 평안도와 황해도에 걸친 청천강 유역은 건답(마른 논)인 데다 돌도 많아 농사를 짓기 쉽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자연스레 두레계가 발달했는데, 이를 ‘항두’ 또는 ‘황두’라 불렀다. 이런 향두계에서는 농사와 함께 놀이가 발달했다. 이런 향두계에 소리를 중심으로 몸짓이 곁들어진 놀이 형식의 종합 민속 연희가 바로 향두계놀이다.

향두계놀이는 제1장 ‘씨앗 고르기’, 제2장 ‘씨뿌리기’, 제3장 ‘모심기’, 제4장 ‘김매기’, 제5장 ‘계놀이’, 제6장 ‘추수와 방아찧기’로 구성된다. 꽹과리, 징, 장구, 북이 풍물 반주를 하며 난봉가, 수심가, 양산도 등 서도소리의 주요 대목을 부르면서 연행한다.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는 총 10개 장면으로 출품했다. 먼저 마당 준비 과정을 거친 후, 마을 사람들과 소리꾼, 농악대가 입장한다. 이후 도리깨질소리를 하며 보리타작하는 시늉을 한다. 방아질을 하면서 타작소리와 방아타령을 부른다. 뒤로 모찌기소리에 맞춰 모를 찌고, 모심을 준비를 한다. 농부들은 모찌기를 끝내면 논두렁 밟기를 준비한다. 농부들은 두 줄로 나눠 논두렁을 따라 빠르게 이동하면서 땅을 꾹꾹 눌러 밟는다. 농부들은 다시 논 안으로 들어가 논매기를 하기 시작한다. 이때 농부들은 호미를 들고 논을 매며, 아낙들은 새참을 준비한다. 논매기가 끝나면 아낙과 농부들이 모여 함께 새참을 먹는다. 새참을 먹으면서 누군가가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농부 두 사람은 술잔을 채워 논으로 가서 고시레를 세 번 한다. 고시레를 한 다음, 만벌 논매기를 한다. 이때 우장을 입고 삿갓을 쓴 이들이 논으로 들어와 마지막 만벌 논매기를 한다. 이 만벌 논매기가 끝나면 풍년을 기원하며 두레놀이를 한다.

향두계놀이는 6·25 전쟁 당시 월남한 서도소리 명창 김정연과 오복녀의 도움으로 남한에서 그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1966년 대회에 나오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었다. 물론 이 놀이를 보존하고 현재까지 전승하는 데 분명 각고의 노력이 있었을 것이다. 이후 2009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 대통령상을 받았다. 향두계놀이는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인 금상을 수상하며, 지역 민속의 원형을 보존하고 전승하려는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 한반도 북부 평안도와 황해도에 걸친 청천강 유역은 건답(마른 논)인 데다 돌도 많아 농사를 짓기 쉽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자연스레 두레계가 발달했는데, 이를 ‘항두’ 또는 ‘황두’라 불렀다. 이런 향두계에서는 농사와 함께 놀이가 발달했다. 이런 향두계에 소리를 중심으로 몸짓이 곁들어진 놀이 형식의 종합 민속 연희가 바로 향두계놀이다.

향두계놀이는 제1장 ‘씨앗 고르기’, 제2장 ‘씨뿌리기’, 제3장 ‘모심기’, 제4장 ‘김매기’, 제5장 ‘계놀이’, 제6장 ‘추수와 방아찧기’로 구성된다. 꽹과리, 징, 장구, 북이 풍물 반주를 하며 난봉가, 수심가, 양산도 등 서도소리의 주요 대목을 부르면서 연행한다.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는 총 10개 장면으로 출품했다. 먼저 마당 준비 과정을 거친 후, 마을 사람들과 소리꾼, 농악대가 입장한다. 이후 도리깨질소리를 하며 보리타작하는 시늉을 한다. 방아질을 하면서 타작소리와 방아타령을 부른다. 뒤로 모찌기소리에 맞춰 모를 찌고, 모심을 준비를 한다. 농부들은 모찌기를 끝내면 논두렁 밟기를 준비한다. 농부들은 두 줄로 나눠 논두렁을 따라 빠르게 이동하면서 땅을 꾹꾹 눌러 밟는다. 농부들은 다시 논 안으로 들어가 논매기를 하기 시작한다. 이때 농부들은 호미를 들고 논을 매며, 아낙들은 새참을 준비한다. 논매기가 끝나면 아낙과 농부들이 모여 함께 새참을 먹는다. 새참을 먹으면서 누군가가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농부 두 사람은 술잔을 채워 논으로 가서 고시레를 세 번 한다. 고시레를 한 다음, 만벌 논매기를 한다. 이때 우장을 입고 삿갓을 쓴 이들이 논으로 들어와 마지막 만벌 논매기를 한다. 이 만벌 논매기가 끝나면 풍년을 기원하며 두레놀이를 한다.

향두계놀이는 6·25 전쟁 당시 월남한 서도소리 명창 김정연과 오복녀의 도움으로 남한에서 그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1966년 대회에 나오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었다. 물론 이 놀이를 보존하고 현재까지 전승하는 데 분명 각고의 노력이 있었을 것이다. 이후 2009년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 대통령상을 받았다. 향두계놀이는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인 금상을 수상하며, 지역 민속의 원형을 보존하고 전승하려는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

문화재 지정 현황

-평안남도 무형문화재 평안도 향두계놀이 (2009.08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