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뫼북춤(2019,대구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6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대구시
분야 무용
참여단체 날뫼북춤보존회

종목소개

날뫼북춤은 1983년 제24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문화공보부 장관상 수상을 시작으로 1992년 제33회 문화부장관상, 1996년 제37회 노력상, 2016년 제57회 동상, 2018년 제59회 장려상 수상 실적을 가지고 있다. 1984년 7월 25일에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 지정되었다. 서구 비산동 일대에서 행해지던 날뫼북춤은 비산농악과 함께 오랜 기간에 걸쳐 두드러지게 발달한 북춤이다. 비산동의 옛 이름이 ‘날뫼’라 날뫼북춤이라 부른다. 이 지역에 있는 날뫼의 원고개는 달성과 달내(금호강) 사이에 퍼진 넓은 들을 가로지르는 나들이 길로, 즉 대구의 관도였다. 옛날 고을의 원이 부임해 올 때 날뫼의 원고개에서 행차를 쉬어 갔는데, 이러한 부임 행차 때마다 백성들이 풍악을 울리고 춤을 추면서 맞이했다고 한다. 날뫼북춤의 유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옛날에 백성들의 추앙을 받던 이 고을의 한 원님이 정사를 돌보다가 순직했다. 그 후 사람들은 원님의 외로운 혼을 달래주기 위해 춘추의 제향 때마다 북을 울리면서 춤을 추었는데, 이것이 오늘날까지 날뫼북춤으로 이어졌다 한다.

날뫼북춤은 열두 마당으로 구성되며, 길굿, 길군악, 인사굿, 정적궁이, 반직굿, 엎어빼기, 다드래기, 모듬굿, 살풀이굿, 강강술래, 허허굿, 오방진, 덧배기굿(뒷마당풀이) 순으로 연행한다. 악사는 쇠, 징, 장구, 띵 각, 태평소로 구성됟며, 북춤은 독무와 군무로 나뉜다.

날뫼북춤의 구성은 비산농악과 유사해, 모의 군사굿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쇠가락은 마당마다 변화가 다양하며, 대표적인 춤의 기조는 경상도 특유의 덧배기가락 춤사위로 되어있다. 일사불란한 단체 무악을 이루고 있어 힘이 있고, 보는 이로 하여금 협동심과 단결력을 느끼게 한다.

날뫼북춤의 춤사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1. 정적궁 상쇠가 치는 단마치에 대원들이 자신의 보폭으로 쇠가락에 맞춰 허리춤, 어깨춤을 추면서 원형으로 돌다가, 상쇠가 2채, 7채가락으로 정적궁을 치면 전원이 허리춤과 어깨춤으로 돌면서 넘어가는 것이다. ‘자반득이(반짓굿)’는 상쇠의 다양한 쇠가락에 맞춰 군무의 묘를 살리면서 덩실거리는 덧배기춤으로, 마당굿이라고도 한다. 2채, 3채, 4채, 8채, 12채 순으로 단체 무악을 이루며, 마지막에는 덧배기가락으로 전원이 돌면서 어깨춤과 허리춤을 흥겹게 춘다.

  2. 엎어빼기 상쇠가 2채로 시작해 4채로 넘어가고, 설북이 2채와 3채를 치면 전 단원이 동시에 한 바퀴 돌면서 세 번, 네 번 엎어빼고 돌아가면서 춤을 춘다. ‘다드래기’는음 3채로 시작해 단모리 7채가락으로 넘어가며, 이때 전 단원은 몸을 뒤집어 엎어 빼고 빠른 사위로 돌면서 춤을 추는 것이다.

  3. 허허굿 설북이 2채에서 4채로 넘어가면서 갈지자 뜀으로 이끌어가면 이에 따라 뛰놀다가 호호딱딱하는 허허굿을 하는 것이고, ‘모듬굿’은 설북이 단마치로 1채, 2채, 3채를 치면서 원을 그리며 모였다 흩어지는 형태를 3번 거듭하고 나서, 설북의 장단에 맞춰 4채, 8채, 12채로 친 다음 대북을 높이 뒤집으면서 춤을 추는 것이다.

  4. 살풀이 한해 농사 과정을 상징하는 춤으로, 풍년을 기원하는 흥겨운 장단과 우렁찬 북소리에 맞춰 전원이 어깨춤을 추면서 돌아가는 것이고, ‘덧배기’는 덧배기 들놀이가락으로 대북이 3채, 6채를 몰아치고 흥겨운 굿거리장단으로 한데 모여 춤을 추는 것이다.

    날뫼북춤은 대구광역시의 대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자주 출전해 여러 차례 수상한 경력이 있다. 힘 있는 역동적인 동작으로 전국에서 사랑받고 있으며, 많은 전승자를 키워낸 종목이다.

문화재 지정 현황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날뫼북춤 (1984.07지정)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