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농악(2019청소년,광주시)

종목 개요

구 분 내 용
참여대회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26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참여지역 광주시
분야 농악
참여단체 대촌중학교
수상(단체상) 은상 (서울특별시장상)

종목소개

‘광산농악’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전승되는 농악으로,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광산농악에는 마을 농악과 뜬쇠들에 의해 형성된 판굿 농악 등 두 가지 계열이 있다. 지역적으로 호남우도농악에 속하며, 전남의 서부 평야 지대를 중심으로 발달했다. 현재의 광산농악은 마륵동의 판굿농악을 중심으로 칠석동의 ‘고싸움놀이농악’, 소촌동의 ‘당산농악’, 산월동의 ‘풍장농악’ 등 광산 지역에서 연주되는 다양한 농악을 집대성한 것이다.

광산농악은 옛날부터 정월대보름을 전후해 마을마다 집집이 돌면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연행한 마을굿으로, 마을 제사인 당산굿을 친 다음에는 집집이 돌아다니며 마당밟이를 했다. 마당밟이를 할 때는 부잣집 마당에서 판굿을 하기도 했다. 농군들이 모심기나 김매며 치는 풍장굿(길지심)도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판굿 위주로 전승되고 있다.

현행 광산농악의 판제 구성을 보면, 12바탕굿이라 해 내드름굿, 문잽이굿, 당산굿, 샘굿, 들당산굿, 마당굿, 성주굿, 조왕굿, 장광굿(철용굿), 날당산굿, 판굿, 도둑잽이 등 총 열두 가지가 있다. 이 가운데 문잽이굿은 문굿을 말하며, 마당굿 이하 장광굿에 이르는 가락은 모두 마당밟이의 성격을 갖고 있다. 또한 도둑잽이는 판굿의 마지막 절차에 해당한다. 따라서 광산농악의 굿거리는 문굿, 당산굿, 철용굿, 샘굿, 들당산굿, 마당밟이, 날당산굿, 판굿의 여덟 가지 굿거리가 전승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판제 구성은 전통사회의 마을굿전통과 좀 더 전문적인 걸립굿의 전통이 융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을 단위에서 농악은 문굿, 당산굿, 철용굿, 샘굿, 들당산굿, 마당밟이, 날당산굿, 판굿 순으로 진행한다. 문굿은 마을에 들어가기 위한 절차다. 당산굿, 철용굿, 샘굿은 마을에서 가장 중요한 신부터 차례로 둘러보는 것이다. 들당산굿, 마당밟이, 날당산굿은 각 가정을 돌아보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판굿으로 마무리 짓는다. 가정에서 행하는 마당밟이는 대문 앞에서 하는 문굿과, 성주굿, 정지굿, 철용굿, 샘굿을 중요한 신의 순으로 연행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마지막으로 마당굿으로 마무리를 짓는다. 마당굿은 판굿처럼 뒤풀이 개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문굿과 당산굿, 철용굿, 샘굿, 마당밟이, 판굿의 각 굿거리는 서로 구조가 유사하다. 다만 문굿과 판굿의 경우 제의가 빠진 연희 중심의 굿거리며, 이외 다른 굿거리는 제의적 절차가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철용굿과 샘굿, 마당밟이의 정지굿과 철용굿 등은 신격의 위상이 당산굿에 비해 중요도가 낮기 때문에 뒤풀이까지 연행하지는 않는다.

광산농악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농악 가운데 두렁쇠의 마을굿과 뜬쇠의 판굿 계통이 함께 전승되고 있는 드문 사례다. 그래서 광산농악을 통해 마을굿과 판굿의 관련성, 특히 음악적 관련성과 구조적 짜임새의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그뿐만 아니라 굿거리 모두가 일정한 규칙과 반복성을 나타낸다.

광산농악의 쇠가락은 ‘내드름-본가락-맺음가락’으로 연주되어 가락마다 시작과 끝을 분명히 하는 점, 그리고 다른 가락으로 들어갈 때 상쇠가 새 가락의 대표 가락을 몇 번 반복 연주해 새 가락으로 전환할 의지를 명백하게 전달하면서 전환이 더욱 자연스럽고 깨끗하게 이루어지는 점 등이 특징으로 꼽힌다. 또한 호남우도농악 쇠가락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는 평가를 듣는다.

문화재 지정 현황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광산농악 (1992.03지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농악 (2014.11등재)

관련링크

자료출처

  • 출처 : 『한국민족예술축제60년. 변화와 도약 해적이』
  • 발행연도 : 2019.12.31
  • 기획 :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사진자료

동영상자료

민속곳간이 제공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입니다.
출처 표기 후 사용가능하나, 상업적 이용 및 내용을 변형 또는 재가공 할 수 없습니다.